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전에는 공단같이 도로는 잘 돼있지만 인적은 드문 곳에서 잘 볼 수 있었는데, 요즘는 주택가에서도 점점 보인다. 이런 시설은 앞으로 더 보행자친화적으로 바뀌어가겠지만, 보행자안전을 위해 신호등달린 횡단보도가 늘어가면서 한편 더 한적해질 지방도시에서는 이런 게 더 늘어날 것 같다. 지금은 보행자가 적은 시간대에는 보행자신호간격을 길게 하면서 저것을 사용하는 방식이라는데, 어쩌면 나중에는 카메라가 달려서 언제나 기다리는 사람이 보이면 자동인식해 타이밍잡아 신호를 바꿔주는 식이 될지도 모르겠다.
출처는 코레일 앱입니다. 에스컬레이터: 걷거나 뛰지 마세요. 마스크 착용 필수. 운임 결제 및 환불에 관하여 환불 위약금 계산표와 휴대품/반려동물 승차기준은 "앱 보안정책으로 캡처 불가"라고 합니다. .. ?? 일단 코레일앱에서는 터치하면 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2022.12.30. 서울시의 2023년 상반기 중 인상 계획 발표. 적자를 없애는 인상은 아니고 줄이는 인상. 명분은 법령으로 정한 무임승차제도로 인한 운임손실을 중앙정부가 채워주지 않는 것. 고령사회의 단면입니다. 파이낸셜뉴스 기사입니다. https://naver.me/5mg1SuCK 2兆 적자에 백기…서울 교통요금 300원 인상 서울시가 8년 만에 지하철과 버스 요금을 300원 인상할 예정이다. 대중교통 운영적자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데 따른 대책이다. 부산, 대구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연이어 대중교통 n.news.naver.com 지하철과 시내버스 모두 300원씩 올리는 안. 기사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대중교통요금은 경기도보다 싸다고 합니다. 이번 인상안의 명분은 전국 지자체가 공통..
두 가지로 적어본다. 열차로 서울가서 전차타기 서울역/용산역/수서역까지 무궁화/ITX/KTX/SRT를 타고 가서, 그 역에서 전철타고 2호선 잠실역 하차. ★ 가장 빠른 길: 대전에서 SRT타고 수서역에서 내린 다음, 수서역에서 잠실역까지 전철.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 대략 1시간 반 정도. ㅡ 서울-대전구간 SRT, KTX는 일찍 예약하지 않으면 잘 매진됨. 그리고 고속철도는 무궁화의 절반 시간인 1시간 이내지만 그만큼 차표값도 비쌈. ㅡ 전철소요시간은 북적이는 출퇴근시간대는 빠르면 11분, 이후 오전시간대는 길면 20분까지. 한 차 정도는 놓쳐도 되는 여유두기. (이하 다른 계산에서도 비슷하게 적용) ★ 가장 저렴한 길: 대전에서 무궁화타고 (영등포나) 용산이나 서울역에서 내린 다음, 거기서 전철타고 ..
조작보다는 감독하는 입장일지도 모르고 공교롭게 사고났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책임은 져야겠죠. 역에서 시멘트 수송용 벌크 화차 연결·분리 작업을 하던 코레일 직원(33)이 화물열차에 치여 숨져 (......) CCTV에 (......) 화물열차 운전은 수습 기관사가 했고, 이를 감독·지도해야 할 선임 기관사는 휴대전화를 보고 (......) https://naver.me/5YwSbVtC 오봉역 사망 사고…기관사는 휴대전화 보고 있었다 지난달 경기도 의왕시 오봉역에서 화물열차를 운전하던 중 사고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직원을 숨지게 한 기관사가 운전 중 휴대전화를 보고 있었다는 정황에 철도특별사법경찰대가 수사에 n.news.naver.com 스마트폰은 잘 써야..
우리나라와 다른 선진국을 비교할 떄, 우리나라는 아직 정부예산으로 표현되지 않는 복지정책비용이 더 있다고 하죠. 그 중 하나. 이 기사 자체는 대중교통사업자의 경영에 주는 적자요인이라는 관점에서 써내려가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708451 "6,300억 손실 지하철 무임승차, 내년엔 베이비붐 58년생도... 정부 지원無" 지하철(도시철도) 무임승차 손실 보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올해도 표출됐다. 서울·경기·인천·부산·대전·대구·광주 등 지자체가 지난 15일 "도시철도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국비 지원 n.news.naver.com ㅡ "국가가 비용을 부담한다는 법령상 근거가 없고, 도시철도 운영의 주체는 지자체이기에 정부가 간여할 수 없..
안내전광판.. 경인일보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21107010001096 [포토] `탈선 여파` 열차 지연 배상안내 지난 6일 오후 발생한 서울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의 여파로 KTX·지하철 1호선 등 일부 열차 운행이 취소·지연돼 출근길에 큰 혼란을 빚고 있다. 7일 오전 수원역에서 열차.. m.kyeongin.com 2019년 모 블로그글. 이렇다고 합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otcblue&logNo=221572413700 새마을·무궁화 등 열차가 지연 도착하면 배상금 받을 수 있다! 여행이나 출장갈 때 종종 열차를 이용한다. 그런데 열차의 지연으로 예정 도착시간보다 늦어지는 경우가 ..
공지가 떴네요. 주중에 또 이용할 일이 있었는데, 다행입니다. :) 어제는 저의 부모님도 "옛날에도 이렇게 바닥에들 퍼져 앉아 기다린 경험은 없다"고 하셨을 만큼 대단했습니다. (무슨 '대한 늬우스'가 귀성소식을 전하던 때 기록영상도 아니고..) 쓸 데가 없어도 신문지 이틀치는 가방 바닥에 넣어다녀야겠구나하고 생각했죠.^^ 저녁에 저희 차가 와서 타고 나올 때, 맞이방(옛말: 대합실)에서 플랫폼으로 나오다 돌아서면, 맞이방 2층에서 플랫폼으로 내려오는 넓은 계단이 보이죠? 양측 가장자리에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그 너른 계단에 가득 사람들이 앉아있는 모습을 보고 다들 깜짝 놀랐습니다. 무슨 운동경기응원온 사람들이나 야외극장 공연보러 온 사람들같았어요.. (이채로워서 사진찍을까하다가 그랬다가는 욕먹을 분위기..
어제 영등포역에서 궤도이탈했다는 무궁화열차가 뭔가 중요한 것을 제대로 부숴버린 모양이군요. 연발과 취소가 많습니다. 1. 너무 밀린다.. 2. 무궁화는 찬밥을 지나 개밥이군하고 생각헸는데, 지연 취소표를 보니 원래 무궁화편성이 적네요. 그랬네.. 11월 7일 열차운행 조정 내역 오늘은 기차타러 오지 마세요. 전부 연발/연착인데, "일부"라고요? 한 가지 엄청 열받는 게, 코레일은 오후 느지막이 될 때까지 지연문자를 안 보냈습니다. 코레일 앱에도 지연표시가 안 떴고. 그래서 예약한 사람들은 조정된 출발지와 출발시간을 고지하는 안내문자메시지만 믿고, 그 시간까지 오면 탈 수 있을 줄 아니 역으로 계속 몰려들었죠. 그래서 역 맞이방이 장사진.. 막상 역에 들어오니 구내방송으로, "열차가 지연중이니 바쁘신 분들..
혹시 자기가 타거나 내릴 역이 빠지거나 없어졌는지 보세요. 주로 오늘 낮까지 열차입니다. https://www.letskorail.com/ebizmk/notice/detail.do?bbrdId=000000000032&ptwtSqno=973&eOffSet=1
전에는 이걸 고르지 못했을 텐데 언제부턴가 보이더군요. 경로로 대중교통을 선택했을 때, 시외버스, 고속버스, 코레일 등 열차편으로도 연결될 때 그걸 표시할지 여부를 정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방도시에서는 가끔 시내버스와 전철이 아니라, 출발지 근처와 도착지 근처의 무궁화나 시외버스편을 대중교통편으로 안내해주기도 했습니다. 그게 선택옵션으로 개선된 것.)
정부 보도자료에 든 사진을 보니, 이전에 블로그에 적은 현대 일렉시티 2층버스같네요. 1층은 저상이기 때문에 휠체어와 유모차를 댈 수 있게 한쪽은 접이식좌석을 넣었다는데, 나머지 1층 좌석도 아마 교통약자우선이 아닐까요. 그리고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2층도 모두 좌석으로 채운 "좌석버스"입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7331 11월 14일부터 B1 노선(대전~세종~오송)에 2층 전기버스 도입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 이하 대광위)는 2층 전기버스 2대가 대전역에서 세종시를 거쳐 오송역까지 운행하는 B1 노선(구 1001번)에서 11 www.molit.go.kr 운행노선(구 10..
카카오T 조금 전에 켜봤더니 보인 공지입니다. 주말에 이용항 일이 없어서 다행이었지, 주중이었으면 정말.. 휴. 티스토리 티스토리도 오전까지는 안 됐는데, 이 글을 적을 수 있듯이 이제 앱도 텍스트 글쓰기는 되네요. 앱 초기화면 등을 보면 아직 완전복구는 좀 시간이 필요한 듯하지만. 그리고 오늘 쓴 글에 이미지를 첨부하면 편집화면에는 보이지만 블로그에는 표시가 안 됩니다. 또한, 앱에서 글쓰기를 해도 편집을 못하겠네요. 블로그 읽기는 어제 언제쯤부터 되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뭘 바꿨는지 지금은 무조건 모바일 웹 화면만 표시합니다. 서버사이드 스크립트로 넣어주는 각주 등은 제대로 안 되고 있어요. 아직 갈 길이 먼 듯. 그리고 혹시 모르니 글쓰기는 좀 있다 해야겠습니다. 만에 하나 롤백이나 꼬이는 게 있을..
ㅡ 에스컬레이터에서 걷지 말고 뛰지도 말기. ㅡ 반드시 마스크쓰기. ㅡ 긴 통화나 대화는 객실 밖 통로에서 하기. ㅡ 취식(밥먹기)도 조용히 먹고, 다 먹은 다음에는 마스크를 꼭 쓰기. ㅡ 차내에서는 되도록 이동과 대화를 자제하기.
서울아산병원이 송파구에 있어서, 수서역에서 타는 게 빠르고 싸네요. 오늘 기준입니다. 그때그때 조금씩 다르겠지만, 서울역출발은 일반 18900, 블루 21900. 수서역출발은 일반 9900, 블루 12600원 정도를 예상해주었습니다.
대전광역시이야기입니다. 컴퓨터같은 화면이 있는 키오스크는 이런 식입니다. 노선번호옆에 휠체어표시 버스아이콘이 나오는 버스가 저상버스죠(이번에 오는 버스가 저상버스가 아니면 저 아이콘은 없이 노선번호만 나옵니다). 음성안내가 나올 때도 저상버스라고 말해줍니다. 장애인이나 다리가 불편한 어르신이나, 몸이 불편하지는 않아도 부피나 무게가 있는 짐을 가지고 타거나, 돌돌이(핸드카트)나 바퀴달린 여행가방을 사용할 때는 일부러 저상버스를 기다려 타기도 합니다... 그럴 때 좋죠. 다만 저상버스(천연가스, 전기) 아이콘은 그 버스가 올 때만 표시가 뜨고, 지금 오는 차가 저상버스가 아니라면 다음 차가 저상버스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그래서 배차되는 날과 시간에 따라서는 저걸 기다리다 하염없이 시간보내는 상황이 오기도 ..
내일부터 추석 연휴인 관계로.. 구간별로 끊어 천안까지 가는 전철과 연계하면 길이 보이는 구간도 있기는 하네요. 하지만 이미 북적북적. "에스컬레이터에서는 걷거나 뛰지 마세요" 이렇습니다. 오전출발분은 그나마 자리가 군데군데 있지만, (입석도 팔았군요) 저녁도착분부터는 매진행렬.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