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LG화학, ESS운영업체에 충전잔량 70%제한 (비용은 보상) 본문

저전력, 전기요금/신재생 에너지 - 산업

LG화학, ESS운영업체에 충전잔량 70%제한 (비용은 보상)

잇따른 ESS화재에 대해 정부는 원인을 몇 가지 잡아내기는 했다지만 아래 적은 것처럼 그 목록을 보면 뭐가 뭔지 잘 모르겠는데 왜 조사결과가 빨리 안 나오냐니까 만들어낸 대증요법같은 인상이 있었습니다. 어쨌든 그 후로 그럭 저럭 괜찮나 싶었지만 다시 일이 생겼습니다. LG화학의 경우, 배터리 충전효율 제한을 했다가 할 만한 예방, 개선 조치는 다 했다고 봤는지 다시 충전효율을 회복시켰다는데 그랬다가 이번에 또 화재가 나서 다시 제한을 요구했다는 이야기같습니다. 휴대폰으로 비유하면 보조배터리를 팔고 난 다음에, "95%이상 만충전하면 불날 지 모르니까 70%까지만 충전시키고 충전케이블빼라"는..



ESS 화재원인 22개월만에 규명됐다: 보호시스템·운영관리 등 미흡…정부, 안전강화 대책 발표 - zdnet 2019/06/11


기사 내용 자체가 보도자료 요약입니다. 원문은 "(보도자료)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 발표.hwp" 를 검색해보세요.

  • 산업통상자원부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 공개
  • ESS 분야 학계·연구소·시험인증기관 등 1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위원회는 2018년 12월부터 5개월간 총 23개 사고 현장 조사와 자료분석, 76개 항목의 시험실증 진행
  • 23건 중 14건은 충전완료 후 대기 중 발생, 6건은 충방전 중 발생, 3건은 설치시공 중 발생.
  • 사고 원인: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 일부 셀에서 제조결함이 발견됐지만 그 상황을 모사해 실험해도 화재는 일어나지 않았음.
  • 2019년 8월부터 ESS 배터리셀에 안전인증 도입. ESS용 대용량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PCS)는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지정. PCS 안전확인 용량범위는 현행 100kW에서 순차적으로 1MW, 2MW로 확대. ESS시스템 KS인증을 5월말일부로 제정. 배터리시스템 보호장치 성능사항, ESS 통합관리 기준 등을 금년 중 민간 자율 단체표준에 추가
  • 옥내 옥외 ESS 설치장소 규정 강화, 안전장치 및 환경관리 의무 강화, 모니터링 강화, 비상정지시스템 설치 의무, 운전기록 별도 보관의무
  • 정기점검주기를 4년에서 1~2년으로 단축. 유관업체 공동점검. 특별점검 수시 실시 및 미신고공사 처벌
  • 소방기준 강화. 소방특별조사. 각종 안전조치 강화.


LG화학, ESS 운영업체에 '충전율 70% 제한' 긴급 조치…잇단 화재 원인은?

전자신문 2019.10.3

  • LG화학은 자사 배터리를 탑재한 ESS 운영업체에 배터리 충전잔량(SOC) 운영 조건을 95% → 70%로 제한할 것을 긴급 요청. 비가동 손실 비용은 LG화학이 보상한다는 방침
  • LG화학은 지난해부터 자사 배터리를 채택한 ESS 사업장에 화재가 잇따르자 SOC를 95%에서 70%로 낮춰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가 정부 조사 결과 발표 이후 안전 점검을 거쳐 SOC를 순차 상향 조정
  • 태양광 연계 ESS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가중치 하향 조정을 앞두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SOC를 무리하게 운영하는 것이 국내에 ESS 화재가 집중된 원인이라는 시각도

국내 ESS시장은 LG화학과 삼성SDI가 거의 양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생건수는 LG화학이 더 많고 규모에 비례하는 단일화재의 손실액수는 삼성SDI가 더 많습니다. 지난 정부조사때도 어느 회사의 배터리가 문제라고 할 만한 경향성은 없었습니다.


이 두 회사가 외국에도 꽤 납품했을 텐데요.. (첨가합니다. LG화학은 국정감사장에서, 같은 시기 외국에 수출한 ESS시스템에서는 이런 사고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이야기가 하나 나왔습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기 위해 효율높고 믿을 만한 ESS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 하면 ESS가 없이는 같은 전력량을 생산해 수요지에 보내기 위해 태양광발전은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의 한 5배는[각주:1] 되는 큰 용량으로 송전시설(= 예를 들어 고압송전탑)을 지어야 하기 때문입니다.[각주:2] [각주:3] 그리고 재생에너지의 하루 중 시간대별 공급 출렁임을 완충하기 위해 한국전력은 화력발전소를 더 비싸고 미세먼지가 더 많이 나오는 방식으로 가동해야 하고, 화력과 원자력만 사용할 때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공급예비율이 필요하므로 평소 사용하지 않고 만약에 대비해 대기하는 화력발전소를 늘려야 합니다.[각주:4] 값싸고 믿을 만한 ESS가 전력망을 떠받치면 적어도 전력사고가 터지지 않는 한 매일 매일의 출렁임은 어느 정도 완충이 되고 전력사고에 대비해 대기시키는 화력발전소도 덜 비싼 방식으로[각주:5] 준비시킬 수 있습니다.



추가 기사입니다)


ESS 화재 여파…'충전 잔량 70% 제한' 의무화 되나 - 전자신문 2019.11.11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아직 이거다! 하는 원인과 이렇게 하라!는 대책을 아직은 딱부러지게 정리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설치 용량의 70%까지만 충전하라는 임시방편을 기본 매뉴얼로 삼을 모양입니다. 


ESS화재가 잇따르자 정부는 업계·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안전대책위원회를 꾸림.
국내 ESS 대표 제조사인 삼성SDI와 LG화학도 화재 확산 방지 제품 설치 완료 시점까지 SOC 70% 제한 조치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져.


관건은 '손실 보전' 방안으로, REC 가중치 적용을 추가 연장하는 내용을 유력하게 논의. 산업부는 예전 화재사고 후 임시조치로 인한 운영 손실을 고려해 올해로 종료되는 REC 가중치 적용을 내년 6월까지 한 차례 연장한 바 있는데 그것을 더 연장하는 안건.

지난 연장조치때, 태양광 연계 ESS는 REC 5.0 가중치를 적용하고 풍력 연계 ESS는 REC 4.5 가중치를 부여.


그러면서 시간을 벌어 원인을 밝혀내자는 것이죠. 미국, 중국의 배터리공장들이 국내 ESS시장에 들어올 채비를 한다는 기사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그렇게 많지도 않습니다. 자칫, 미국산 중국산은 괜찮은데 국산은 불나네? 이렇게 되면 양대 회사들, 국내외에서 타격이 이만저만이 아닐 테니까요. 그 전에 답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1. 대충 적은 것입니다만, 몇 배 더 큰 것은 분명합니다. 인터넷에 비유하면 1TB데이터를 보내는데 원자력과 화력은 24시간동안 꾸준히 나눠 보내고, 태양광은 하루 6시간만 그나마 피크타임은 1~3시간뿐이라고 치면 필요한 대역폭은 훨씬 크겠죠. [본문으로]
  2. 화력과 원자력은 날씨무관하게 하루 24시간 내내 일정한 전력을 보냅니다. 태양광발전은 날씨영향을 받으면서 하루 6시간 남짓만 제대로 발전하며 그나마 최고출력일 때는 3시간 내외일 뿐입니다(일광추적식이라면 낫겠지만 그래도 해지면 생산못하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정규분포곡선모양을 생각하면 됩니다. [본문으로]
  3. 공단이야 생산지 = 소비지가 될 수 있지만,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는 소규모로 자가발전하는 용도는 인구밀도때문에 충분하지 못하고, 농지, 녹지, 공공용지를 활용한 대규모 시설은 미래는 어떨지 몰라도 현재는 민원대상이 되기 십상입니다. [본문으로]
  4. 최근의 사건으로, 영국의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전력공급이 끊겼을 때, 화력발전으로 제때 대응하지 못해서 정전사태가 벌어진 적 있습니다. 영국은 태양광보단 초대형 풍력터빈을 대량 사용한 풍력발전이 주력인데, 육지에서는 민원이 생기니까 연안, 우리 기준으로는 먼 바다로 나가서 조성했습니다. [본문으로]
  5. 10분 내 가동에서 2시간 내 가동으로 등.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