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mRNA 백신을 활용한 치료제 연구, 설명 영상과 기사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mRNA 백신을 활용한 치료제 연구, 설명 영상과 기사

"원래부터 치료제용이었다가 빠른 개발속도를 이용해 백신에 활용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전지구적 임상을 하게 됐다.."

 

조금 검색해본 것.

유튜브

[톡톡! 생로병사의 비밀] mRNA 백신으로 암치료 가능하다? | 1편 2021.12

.

.

[톡톡! 생로병사의 비밀] mRNA 백신으로 암치료 가능하다? | 2편

.

.

 

코로나19로 빛 본 'mRNA'...암 백신으로 다시 인류에 기여할까 - 동아사이언스 2023.1.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8009 

 

코로나19로 빛 본 'mRNA'...암 백신으로 다시 인류에 기여할까

맞춤형 mRNA 백신을 맞고 생성된 단백질에 반응해 면역체계가 암 세포를 파괴하고 있다. 엠디앤더슨 센터 제공 영국은 올해 임상시험을 시작으로 mRNA 암 백신을 개발해 2030년까지 영국 내 암 환자

m.dongascience.com

 

ㅡ mRNA를 이용한 백신이나 치료제는, 치료전략을 수립한 다음 필요한 DNA(RNA) 서열만 합성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빠르다. 그 속도를 활용해 COVID-19같은 갑작스런 질병 유행에 대응해 백신을 만들거나, 환자 개인별 마춤형 치료제를 제작하기 좋다. 

 

ㅡ "mRNA 암백신"은 흔히 생각하는 병이 안 걸리게 예방하는 약은 아니다. 병에 걸린 환자가 있을 때, 그 병의 병원체나 암세포가 정상세포와 다르게 합성해내는 단백질(차이나는 프로테옴proteome set)이 있으면 그것을 먼저 규명하고, 그 중에서 유망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표현하는 mRNA를 합성해 적절한 처리를 한 다음 몸속에 집어넣어 그 단백질만 과발현시켜서, 환자 몸속의 면역체계가 이에 자극받아 그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세포/세균/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ㅡ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온몸을 돌며 숨어 있는 암세포까지 발본색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ㅡ 말라리아, 대상포진, 에이즈, 성병, 결핵, 모기가 옮기는 열대병, 인플루엔자(독감) 등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그리고 유전자치료

http://m.dongascience.com/news.php?idx=58001 

 

유전자 교정 mRNA 넣어 망막 질환 치료한다

유전성 망막질환은 망막 시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담당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미국 오리곤주립대 연구팀이 유전성 망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게

m.dongascience.com

 

 

 

최근 뉴스.

mRNA 암백신이 사용되는 흑색종(전이가 잘 되는 악성 피부암) 치료제 개발 중이라는 소식

유럽의약품청(EMA)이 모더나와 MSD(미국 머크)의 개인 맞춤형 mRNA 암 백신과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을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PRIME, Priority Medicines)으로 지정 (......) 모더나와 MSD는 지난 6일(현지시각) 유럽의약품청으로부터 완전 절제술을 받은 고위험 III/IV기 흑색종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mRNA-4157/V940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에 대한 PRIME 지정을 받았다고 발표 (......) 모더나와 MSD는 올해 개인 맞춤형 mRNA 암 백신 mRNA-4157/V940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시작할 계획

출처 : 의약뉴스(http://www.newsmp.com)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895 

 

모더나ㆍMSD, mRNA 암 백신 EU서 우선심사 대상 지정 - 의약뉴스

[의약뉴스] 유럽의약품청(EMA)이 모더나와 MSD(미국 머크)의 개인 맞춤형 mRNA 암 백신과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을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PRIME, Priority Medicines)으

www.newsmp.com

 

 

주요 선진국의 유명 제약회사들이 다 한 발을 걸쳐놨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못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선 유일하게 코로나19백신을 양산/위탁생산/유통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1월달에, 관련 회사를 인수해 따라잡겠다고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아직 구체적으로는 나온 적 없습니다.

 

식약처는 2022년 8월에,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이라는 것을 발표했습니다.

그 문서에서 용어설명에 해당하는 부분만 발췌해봅니다.

================

용어설명
 아래에 제시하는 정의는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적용된다.

  • 후보 치료제(candidate products) : 연구 및 임상 개발 단계에 있으며, 식약처로부터 승인이나 허가를 받지 않은 임상시험용 유전자치료제

  • 실험설계(design of experiments) :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그 공정 결과 간의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구조화되고 조직화된 접근법. 이 용어는 ICH Q8(R2)에서 언급하고 있다.

  • 완제의약품(drug product) : 최종 제품(final products) 참조

  • 원료의약품(drug substance) : 최종 제형화 이전 정제된 mRNA(일부 품목의 경우, 지질나노입자 혼합물)로서 의약품의 활성 성분. 단일한 균질 생산 배치로 준비하여, 지정된 1가지 이상의 용기에 보관하며, 최종 제형(최종 유전자치료제 또는 완제의약품)의 준비에 사용된다.

  • dsRNA(두 가닥 RNA, double strand RNA) : 어떤 바이러스는 특정 부위보다는 전장에 걸쳐 완전하게 두 가닥 RNA를 형성한다(예: mRNA의 이차구조). 이 두 가닥 RNA는 세포 내 수용체에 의해 감지되어 선천성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제조방법에 따라 다르겠으나, 어떤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에서는 in vitro transcription(IVT) 제조공정 중 부산물로서 dsRNA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dsRNA는 제조공정 중 mRNA와 분리하여 제거해야 하는 불순물이며, 최소한 제품 내에서의 양을 확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만일 제조공정 중 dsRNA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공정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 공정개발용 생산(engineering run(s)) : GMP 생산공정을 확증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한공정을 개발하는 데 이용된 생산 단위로 인체에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 첨가제(excipient) :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제형화에 추가된, 활성 성분 외의 의약품의 구성 요소. 대부분의 첨가제는 비활성 성분으로 간주하는 반면, 일부는 특정 상황에서알려진 작용이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첨가제는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위하여 반드시 제품의 라벨 정보 및 첨부문서에 표시해야 한다. 본 문서의 맥락에서는지질나노입자를 형성하는 지질 등을 의미하며, 지질나노입자 혼합물은 완제의약품(drug product)의 생산에서 중간체로 정의되거나, 일부 품목의 경우 원료의약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 최종 원액(final formulated bulk) : 최종 제품(final products)의 제조공정 중의 중간체로서, 일차 용기에 충전할 농도의 최종 제형화된 균질한 원료의약품이거나 첨가제(excipient)가 포함되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최종 원액을 더 높은 농도로 보관하고 충전 직전에 희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지질나노입자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로제형화한 mRNA를 지칭한다. 만일 다가(multivalent) 혹은 혼합 mRNA 기반 치료제에서처럼 2개 이상의 원료의약품이 혼합될 경우, 이러한 과정은 최종 원액의 준비과정 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 최종 유전자치료제(final gene therapy products) (또는 완제의약품(drug product)): 일반적으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하고 사용을 위해 봉입된 한 개 이상의 원료의약품(활성 성분)을 함유한 최종 제형(dosage form)(예: 현탁액 또는 동결건조 분말). 본 문서에서는 지질나노입자 및 기타 첨가제 등과 함께 제형화하여 최종 용기에 충전된 mRNA 부유액을 일컫는다. 그 외에도, 최종 용기는 (각 용기가 다회 투여량을담고 있을 수 있을지라도) 임상 용량에 해당하는 농도로 충전해야 한다. 다른 문서에서는 “최종화된 제품(finished product)”으로도 칭한다.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 제품의 사용 의도에 적합한 품질기준 및 품목허가 요건에 따른 일관적인 제품의 생산 및 관리를 보장하는 시스템

  • in vitro transcribed (IVT) mRNA : DNA-의존적 RNA 중합효소(예: T7, T3 또는 Sp6 파지 RNA 중합효소(phage RNA polymerase)) 및 뉴클레오시드 3인산염(nucleoside triphosphate)을 사용하여 선형 DNA 주형(template)으로부터 mRNA를 in vitro 환경에서 생성하는 제조공정

  •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LNP) : mRNA가 세포 밖에서 분해되는 것을 피하고 mRNA의 세포 내 진입 및 세포질(cytosol)로의 방출을 촉진할 목적으로, mRNA의안정화 및 봉입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전달 제형. 지질 성분은 이온화 가능한 및/또는 양이온성의 지질, 도움 지질(예: 인지질 및/또는 콜레스테롤), 페길화((polyethylene-glycol-ylation(PEGylation))와 같은 변형 지질을 포함한다(다만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 LNP 및/또는 지질 성분은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 품목허가(marketing authorization/approval) : (유전자치료제를 포함한) 의약품의 시판을 위한 공식 허가. 식약처가 새로운 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을 승인하면 이 의약품은시판할 수 있으며 의사의 처방 및/또는 공중보건 사용을 위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품목허가가 되면 새로운 의약품은 허가사항에 따라 제조하고 관리하며 표시·기재하여야 한다.
  • 작용기작/작용기전(mode/mechanism of action) : 유전자치료제가 세포(mode) 또는 분자(mechanism) 수준에서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방식(예: 항암 활성을 갖는 표적 단백질의 발현, 중화항체에 의한 중화작용(neutralization), T-세포에 의한 세포독성(cytotoxicity) 등)

  • 변형된 뉴클레오시드(modified nucleoside) : mRNA 제작 시 일반적인 뉴클레오시드(이 경우, 우리딘(uridine))를 대체할 수 있는 자연 발생적으로 변형된 뉴클레오시드(예: 슈도우리딘(pseudouridine))로서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의 종류로는 메틸화(methylation)가 있다. 뉴클레오시드는 또한 비자연적 변형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 mRNA 완전성(mRNA integrity) : mRNA의 정확한 길이(length), 합성된 mRNA의 5′ cap 효율(efficiency), 3′ poly(A) 개수 및 mRNA의 염기서열의 정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 mRNA(messenger RNA) : 세포의 세포질에서 단백질로 번역되는 단일 가닥의 RNA 분자. mRNA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오픈 리딩 프레임(ORF), 주변을 둘러싼 비번역 부위(UTR), 5′ cap(또는 대체물) 및 3′ poly(A) tail을 포함한다.

  • 새로운 첨가제(novel excipient) : 인체 투여를 위해 허가 또는 승인된 의약품에서 이전에 사용한 적이 없는 첨가제(예: 지질나노입자 등), 또는 인체 투여를 위해 허가나 승인된 제품에서 이전에 사용하였다면, 허가 또는 승인된 투여경로와 동일하게 (그리고/또는 더 높은 농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는 첨가제.

  • 플랫폼 기술(platform technology) : 기존과 다른 적용 및 공정, 기술의 개발을 위한 토대로 사용되는 기술들의 모음.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맥락에서, 다양한 질환(개별 각각의 유전자치료제) 또는 혼합 mRNA나, 동일 질환에 대한 mRNA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반으로써 제조사는 한 가지 이상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1) 제조 방법을 본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그러나 각 특이적 치료제후보에 대해 최적화할 수 있음), (2) 기준 및 시험법(확인 시험, 역가 시험, 안정성 시험은 제외)과 허용기준은 변경하지 않았으며, (3) 면역조절 복합체나 요소를 변경하지 않았고, (4) GMP 준수의 변경이 없는 경우, 플랫폼 기술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적절한 것으로 간주한다.

    새로운 후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 사용에 따른 특이사항은 획득한 경험과 지식 및 생성된 자료(제조 및 관리, 안정성, 비임상), 변경되지 않은 방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모두 더욱 신속한 새로운 후보 치료제의 평가 및 개발을 위한 보조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안전한 시작용량(starting dose) 또는 내약용량(tolerable dose)과 관련하여 플랫폼에서 얻은 임상 및 비임상 자료는 또한 이 플랫폼으로 이미 내약성이 있다고 파악된 용량에서 새로운 후보 치료제의 임상시험을 개시하도록 뒷받침해 줄 수도 있다. mRNA 서열과 더불어, 이 플랫폼 기술에 변경된 측면이 있다면, 기 플랫폼으로 생성된 자료가 새로운 후보 유전자치료제를 뒷받침할 수 있다고 간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를 위해 사용하는 생산 및 관리 방법은 제조사 간에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제조사에서 생성한 정보가 플랫폼 기술을 뒷받침해주지 못할 것이다. 만일 근거를 제시하고 그 근거가 강력하다면, 이러한 정보는 제품군에 대한 정보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보조 자료로 평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랫폼 기술 사용에도 불구하고 현재 표준화가 부족하기 때문에, m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규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방식의 유연성이 정당화될 수 있다. 늘 그러듯이, 사례별 접근법이 타당하며 식약처와 논의하고 동의를 구해야 한다.


  • sa-mRNA(self-amplifying mRNA) : 목표로 하는 발현 단백질 외에도, 특정 알파바이러스의 비구조 단백질(nonstructural protein)도 (항원과 동일한 분자에 또는 별도의 분자에) 코딩하는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이러한 ORF가 세포 내 발현 시 알파바이러스의 복제 기전을 지닌 단백질을 생산하며, 이를 통해 세포는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다수의 mRNA 카피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sa-mRNA의 목적은 생성되는 표적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체내 역가를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mRNA 기반 유전자치료제는 이 문서에서 sa-mRNA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 표적 단백질(target protein) : mRNA기반 유전자치료제로 투여된 mRNA에서 발현된 단백질 혹은 그 일부. 

  • tRNA(transfer RNA) : 리보솜에 의해 사용되는 RNA 분자이며, mRNA상의 코돈을 단백질로 번역하는 데에 관여하는 어댑터(adaptor)역할을 한다.

=========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