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해군함의 일부 고장수리소요를 3D프린터를 사용해 충당하려는 노력 본문


기술과 유행/3D

해군함의 일부 고장수리소요를 3D프린터를 사용해 충당하려는 노력


반응형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하는 것이 기본인 미군은 육해군이 모두 본토에서 지구 반대편까지 보급하는 문제때문에 이런 것을 이미 하고 있다는 말도 있던데요, 우리나라는 배 안에 제작실을 둔 건 아니지만 가능성을 점쳐본 사례 중 하나. 지난 4월 것입니다. (검색해보니 제 블로그에 적은 적 없길래)

 

작년에는 이것말고 다른 다양한 시도를 해군이 소개한 적 있습니다.

https://pcgeeks.tistory.com/21452

 

해군의 3D프린터팀: 금속, 비금속 3D프린터를 사용한 마춤형 부품제작

군수품은 제조사입장에서는 생산이지만 사용자입장에서는 적은 양을 비싸게 사서 쓰는 데다, 수십 년을 사용하는 동안 제조사에서 단종하고 지원종료하면 재고를 확보하기 곤란한 경우도 있기

pcgeeks.tistory.com

 

http://m.dongascience.com/news.php?idx=59335 

 

부품 고장 '광개토대왕함', 3D프린팅 기술로 하루만에 살렸다

광개토대왕함. 위키피디아 제공 3200t급 광개토대왕함은 1998년 실전 배치된 제1호 한국형 구축함이다. 우리 해역을 수호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최근 광개토대왕함이 운용을 멈췄다. 엔진의 감

m.dongascience.com

ㅡ 항해 중 고장난 엔진부품

ㅡ (귀항한 다음) 고장부품을 수리하는 작업을 레이저빔을 사용하는 금속 3D프린터로 시도.

ㅡ 보수한 부품을 해군정비창에서 시험해보니 쓸 만하다고 판정.

 

기사 늬앙스로 보아서는 손상된 파츠를 3D프린터 제작품으로 교체한 것은 아니고, 3D 프린터로 변형된 부분을 수리했다는 듯. 이 작업의 의의는, 해당 부품은 주문생산품이라 발주하면 입고까지 몇 달이 걸리고, 기존 용접수리방식보다 더 좋은 품질로 수리할 수 있는 점이라고. 그리고 국내 최초 사례.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