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김창훈) 본문


아날로그/도서,한국사, 세계사 관련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김창훈)


외교사쪽 책입니다. 저자 경력은 이 정도.

저자 김창훈은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프랑스 파리대학 법학박사. 주유엔 참사관, 외무부 구아국장?아중동국장, 주유엔 공사, 주가봉 대사, 캐나다 몬트리올 총영사, 주필리핀 대사,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연구위원과 명예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 교보문고

 

서지정보 출처는 국립중앙도서관, 교보문고입니다.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insiteschStr=&schQuery=&mainSrchField=1&kwd=%ED%95%9C%EA%B5%AD+%EC%99%B8%EA%B5%90+%EC%96%B4%EC%A0%9C%EC%99%80+%EC%98%A4%EB%8A%98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509091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 김창훈 - 교보문고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은 정권별로 주요 문제와 사건을 알기 쉽게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외교 관계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정치가나 공무원, 그리

product.kyobobook.co.kr

 

2013년판 기준 종이책 기준 차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 정부가 바뀌는 시기쯤을 잡아 개정판이 나왔던 모양이네요.

 

목차

제1장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역사적 배경

1. 광복운동 19
2. 한국 독립에 관한 국제적 약정 22
3. 국토의 분단 26
4. 모스크바 협정 31
5. 미?소 공동위원회 33
6.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39
7.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현 42

제2장 이승만 정부의 외교(1948∼1960)

1. 정부 승인 획득 외교 49
2. 안보 외교의 시작 52
3. 한국전쟁 56
4. 정전협정 64
5. 제네바 정치회담 71
6. 이승만 정부의 통일 정책 74
7. 한?일 회담의 시작과 평화선 선포 78

제3장 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내각의 외교(1960∼1961)

1. 대미(對美) 안보와 유엔 외교의 강화 86
2. 대일(對日) 외교의 강화 89

제4장 박정희 정부의 외교(1961∼1979)

1. 정통성 확보 외교 96
2. 한?일 국교정상화 98
3. 한국군의 월남 파병 102
4. 동(東)베를린 북한 공작단 사건 111
5. 닉슨 독트린 114
6. ‘7?4 남북공동성명’ 118
7. ‘6?23선언’과 평화통일 3대 원칙 122
8.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 126
9. 아프리카 세력의 등장과 외교의 다변화 128
10. 김대중 납치 사건 131
11. ‘리마’ 비동맹 전체 외상회의 135
12. 판문점 도끼 만행과 북한의 마약밀수 사건 140
13. 유엔총회에서의 한국문제 토의 지양 145
14. 박동선 사건 149
15. 경제발전과 국위 선양 154

제5장 전두환 정부의 외교(1980∼1987)

1. 미국과의 우호관계 증진 164
2. 문세광 사건과 한?일 관계 개선 167
3. 공산권 진출 172
4. 대(對)비동맹국 외교의 강화 175
5.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178
6. KAL기 격추 사건 180
7. ‘아웅 산 묘소’ 폭파 사건 184

제6장 노태우 정부의 외교(1987∼1992)

1. 북방외교 194
2. ‘7?7선언’ 198
3. KAL기 폭파 사건?서울올림픽?평양 축전 201
4. 미국의 통상 압력 209
5. 남북대화의 재개 214
6. 한?러시아 관계 발전 217
7. 한반도 비핵화 선언 223
8. 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 226
9. 대(對)아?태지역 외교 강화와 APEC 232
10. 중국과의 국교 수립 237

제7장 김영삼 정부의 외교(1993∼1998)

1. 북한의 핵 문제 250
2. 경부고속전철의 차종 결정 258
3. 김일성 사망 이후의 남?북 관계 264
4.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참여 268
5. ‘우루과이 라운드(UR)’ 타결과 세계무역기구 출범 271
6.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피선 277
7.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 280
8. 한?미 행정협정(SOFA)의 개정 문제 284
9. 새 재외동포 정책 287
10.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92
11. ‘월드컵 축구대회’의 한?일 공동 유치 300
1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5
13. 한반도 4자회담 309

14. 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의 망명 312
15. 환경 외교 316
1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320
17.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요청 324

제8장 김대중 정부의 외교(1998∼2003)

1. 통화위기의 극복 333
2. 김대중 정부의 대북 정책 338
3. 평화체제 구축 노력 345
4. 주변 4대 강국과의 외교 강화 348
5. 소떼 북송과 금강산 관광 360
6. 북한 미사일 실험발사 유예와 페리 보고서 365
7.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369
8.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375
9. 제3차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380
10. 한?미 정상회담 385
11.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서명 390
12. 남?북한 철도와 도로 연결 396
13. 북한의 핵개발 문제 402

제9장 노무현 정부의 외교(2003∼2008)

1. 국군의 이라크 파병 414
2. 2005 부산 APEC 회의 420
3. 반기문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취임 424
4. 북한의 탄도 미사일 실험발사와 핵실험 430
5. 제19차 남북 장관급회담 438
6. 아시아 횡단철도망 건설을 위한 정부 간 협정 442
7.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현황과 한?미 FTA 타결 450
8. 전시(戰時) 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456
9. 한?중 수교 15주년 463
10. 2007년 남북정상회담 469
11. 지구 온난화와 환경 외교 476
12. 북한의 인권문제 483
13. 베이징 6자회담 489

제10장 이명박 정부의 외교(2008∼2013)

1.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502
2. 한?일, ‘과거사’ 딛고 ‘신시대’를 맞다 507
3. 한국군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511
4. 천안함 폭침(爆沈) 사건 유엔 안보리에 회부 517
5.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연기 525
6.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사건 529
7. 서울 G20 정상회의 개최 538
8. 외규장각 왕실의궤 145년 만의 귀환 545
9. 한?EU FTA 발효 553
10. 평창의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 558
11. 한?미 군사동맹에서 다원적 전략동맹으로 격상 563
12. 남?북?러 천연 가스관 연결 사업 572
13. 한국 무역 ‘1조 달러 시대’를 열다 578
14. 한?중 국교수립 20주년을 맞아 584
15. 2012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개최 589
16. 북한의 자칭 인공위성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595
17.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601
18. 한국, 유엔 안보리 재진출 성공 608

맺음말 615
참고문헌 619
부록: 외교부 조직표 622

 

 

2002년에 초판이 나왔고, 2013년에 나온 종이책은 4만원 정도. 624쪽.

리디북스에 전자책이 있습니다. 이것도 2013년판과 차례와 같습니다.

 

https://ridibooks.com/books/878003123

 

개정판|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개정판|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작품소개: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은 정권별로 주요 문제와 사건을 알기 쉽게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외교 관계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정치

ridibooks.com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