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미국에서 사체의 장기에서 채취한 성장 호르몬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0.4%가 의인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iCJD) 발병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의과학

미국에서 사체의 장기에서 채취한 성장 호르몬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0.4%가 의인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iCJD) 발병


반응형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들은 과거에는 이런 치료도 받았다고 합니다.

당연히 이거 안 한 지는 수십 년 됐지만, 옛날에 치료받은 사람들이 성인이 되어있으니 환자는 꾸준하게 나오고 있다고.

신선한 뇌하수체라는 건 흔하지 않으니까 주로 노인의 뇌를 기증받아 추출했던 모양이네요.

 

사체서 빼낸 성장 호르몬 주사 맞은 7살 소녀…결국 ‘이 병’ 걸려 사망
서울신문 2025.05.28.

50년 전 사체 추출 호르몬 주입한 美 58세 여성
크로이츠펠트 야곱병으로 사망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544915

 

사체서 빼낸 성장 호르몬 주사 맞은 7살 소녀…결국 ‘이 병’ 걸려 사망

어린시절 사체서 빼낸 성장 호르몬 주사를 맞은 여성이 약 50년 뒤 해당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병으로 사망했다. 미네소타 대학교 감염병 연구 및 정책 센터(CIDRAP)는 지난 16일(현지시간) 프

n.news.naver.com

 

ㅡ 콜로라도 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국립 뇌하수체 호르몬 프로그램(NHPP)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약 7700명의 미국 환자들에게 성장 부전 등 치료를 위해 이 약물을 투여

ㅡ 당시에는 범뇌하수체기능저하증 환자에게 사체에서 추출한 호르몬을 주사하는 게 흔한 관행이었으며, 난소에서 난자를 생산하지 않는 여성에게도 이것으로 치료.

ㅡ 1985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chGH 관련 iCJD 발병이 보고되자 chGH 생산과 투여가 즉시 중단

ㅡ 사체 추출 성장 호르몬은 유전공학으로 생산된 합성 대체 호르몬으로 대체됐지만, 이전 투여자 중 일부에서 긴 잠복기를 가졌기 때문에 iCJD 발병은 지속

ㅡ 과거 chGH에 노출된 환자의 경우에는 iCJD 감별 진단을 꼭 받아야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