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PC Geek's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자료 링크 몇 가지 본문
역사적 사실 개요에 대해서는, 아래 우리역사넷 기술 참고.
관동대지진과 조선인학살
대지진의 혼란과 공포를 조선인의 학살로 덮다
관동(關東) 대지진(1923년 9월 1일 발생) 당시 조선인학살 사건은 1923년 9월 2일~6일까지 일본 관동지방 일대에서 일본 군경과 무장한 민중들이 조선인을 학살한 사건이다.
https://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400900&code=kc_age_40
현재 진행형인 관동 대지진 당시의 조선인 학살 사건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진도 7.9의 강진이 일본의 중심지 도쿄와 관동 일대를 강타하였다. 일본 열도는 환태평양지진대에 속해 있는 지진 다발 지역으로 크고 작은 지진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러나 관동 대지진은 일본이 메이지유신 후 근대사회로 진입하여 맞이한 최대의 재난이었다.
지진으로 도쿄,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한 관동지방에 수많은 이재민과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도쿄 일대가 잿더미로 변하는 등 상당한 재산피해를 입었다. 그리고 무고한 조선인들이 일본의 군경과 민간인에게 학살당하는 만행이 벌어졌다.
이 때 학살당한 조선인 수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자료마다 학살자수는 다른데 일본 정부가 발표한 사망자 수는 발표된 사망자 수 중 가장 적은 233명이고 상하이 임시정부의 기간지인 『독립신문』에 발표된 학살자 수는 6,661명에 이른다. 사건 후 조선인들이 1923년 10월 ‘재일본 관동지방 이재조선동포 위문반’을 조직하여 11월까지 사망자 수를 조사하였으나 일본 정부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었다.
재난을 당한 조선인들은 구조를 기다리다가 또는 안전한 곳을 찾아다가 만난 경찰과 일본 민중에 의하여 무참한 죽임을 당하였다. 조선인 학살의 직접적인 원인은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탄다.’,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였다. 유언비어의 발생처를 정확히 가릴 수 없으나 경찰에 의하여 유포되었고 그것을 의심 없이 믿은 일본 민중이 조선인을 무차별로 학살하였다.
일본 정부는 사실 확인 없이 유언비어를 유포하였고 일본 민중의 조선인 학살을 방조하다시피 하였으며 이후 조선인 학살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회피하면서 사건을 덮어왔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때 발생한 조선인 학살은 진상규명과 일본의 책임을 물어야 하는 동시 진행형의 사건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무엇이 일본 민중으로 하여금 별다른 의심과 죄의식 없이 수많은 조선인들을 학살하도록 하였는가? (......) - 우리역사넷
국제학술회의 관동대지진 학살사건과 역사수정주의 문제
서종진, 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소장
https://nahf.or.kr/webzine/view.do?cid=63334
동북아역사재단 뉴스레터
동북아역사재단 2021년 10월호 뉴스레터
nahf.or.kr
[역사 속 그날들/풀버전] 관동대지진, 학살의 기억ㅣKBS 190421 방송
2023.9.1.
https://www.youtube.com/watch?v=ZycwD2UiQk4
.
.
.
.
.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관련 번역 자료집(1)
https://www.nahf.or.kr/gnb03/snb01_01.do?mode=view&page=6&cid=67909
관동대지진과 학살사건의 기억과 과제, 2020 (학술회의 자료집)
https://www.nahf.or.kr/gnb03/snb04_01.do?mode=view&cid=61680
자료 > 자료집 > 학술자료집
www.nahf.or.kr
관동대지진 조선인·중국인 학살 100년 진실·책임·기억 학술회의 자료집(2023.08.30)
https://www.nahf.or.kr/gnb03/snb04_01.do?mode=view&cid=67971
자료 > 자료집 > 학술자료집
www.nahf.or.kr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강덕상, 야마다 쇼지, 장세윤, 서종진 (2013. 동북아역사재단)
https://www.nahf.or.kr/gnb03/snb01_01.do?mode=view&cid=39312
자료 > 간행도서 > 연구서
www.nahf.or.kr
차례
책머리에 11
제1부| 한일관계와 관동대지진의 역사적 의의
● 한일관계에서 본 관동대지진 강덕상 19
● 일본 민중은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오늘날 일본의 정치적·사상적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야마다 쇼지
Ⅰ. 머리말-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필자의 문제의식에 대하여 45
Ⅱ. 관동대지진 전야에 발생한 조선 해방을 위한 일본인·조선인 연대지향의 맹아 46
Ⅲ. 식민지 해방 슬로건을 채택한 1923년 5월 도쿄의 메이데이에 대한
경시청의 대탄압 50
Ⅳ. 관동대지진시의 조선인 학살 52
1. 관헌이 유포한 조선인 폭동 유언(流言)과 조선인 학살의 용인 발언 52
2. 군대 출동과 계엄령 포고 56
3. 자경단이 만들어진 방법과 그 사상 57
Ⅴ. 조선인 학살의 국가책임을 은폐하는 일련의 공작 64
1. 조선인 폭동의 날조공작 64
2.학살된 조선인의 유체 은폐 68
3. 관동대지진의 역사서 편찬에 의한 경시청의 책임은폐 69
Ⅵ.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아시아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인식 변화 70
1. 요코하마시 교육위원회와 도쿄도 교육위원회의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사건의 사실(史實) 왜곡정책 등장 70
2. 자유주의사관의 등장 71
3. 자민당 극우파 아베 신조[安倍晋三]의 등장과 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 인식의 왜곡 동향 74
Ⅶ. 맺음말 80
제2부| 관동대지진에 대한 연구와 교육
● 관동대진재 당시 피학살 조선인과 가해자에 대한 일고찰 강효숙
Ⅰ. 머리말 85
Ⅱ. 피학살 조선인 수 91
Ⅲ. 일본 정부의 가해자에 대한 처리 112
Ⅳ. 맺음말 125
● 전후 일본의 역사교육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다나카 마사타카
Ⅰ. 머리말 129
Ⅱ. 역사교과서 분석 130
Ⅲ.전후 역사교육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33
Ⅳ. 맺음말 136
● 일본 교과서의 관동대지진과 학살사건 기술 내용 분석 서종진
Ⅰ. 머리말 153
Ⅱ. 일본 보수세력의 교과서 공격 155
Ⅲ. 일본 언론의 관동대지진 관련 교과서·부교재 기술에 대한 보도 158
Ⅳ. 초중고 교과서의 관동대지진과 학살사건 기술 사례와 내용 분석 161
1. 사망자와 행방불명자 총수(總數) 166
2. ‘조선인’ 희생자 수 167
3. 학살의 주체 168
4. 유언비어 169
5. 도판 170
Ⅴ. 맺음말 172
● 한국 역사교육 속의 재일조선인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 김인덕
Ⅰ. 머리말 179
Ⅱ. 한국의 재일조선인사 서술 경향 182
1. 최근의 재일조선인사 182
2. 재일조선인사 서술의 일반 186
3. 1923년 관동대지진 속 조선인 학살 서술 189
Ⅲ. 관동대지진 속 조선인 학살 서술안 192
1.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93
2. 유언비어 194
3. 일본 사회운동과 치안상황 195
4.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조선인 학살 196
5. 일본 언론 198
6. 6천 명이 넘는 조선인의 죽엄 199
7. 일본 사회주의자 200
8. 조선인 학살과 그 뒤 201
9.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의미 202
Ⅳ. 맺음말 203
제3부| 관동대지진과 남겨진 과제들
●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에 대한 《독립신문》의 보도와 최근 연구동향 장세윤
Ⅰ. 머리말-진상규명을 위한 현황 파악의 필요성 207
Ⅱ. 《독립신문》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 관련 보도 212
1. 《독립신문》 개관 212
2. 한인 학살 관련 보도내용의 개략적 검토 214
Ⅲ. 《동아일보》·《조선일보》의 보도 개관 225
Ⅳ. 한국 학계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문제 연구와 서술 229
1. 한국 학계의 연구동향 229
2. 최근 고등학교 교과서의 관동대지진시 한인 학살 서술 231
Ⅴ. 북한 학계의 관동대지진 관련 서술 234
Ⅵ. 일본과 미국 학계의 동향 236
1. 일본 학계의 동향 236
2. 미국 학계의 동향 239
Ⅶ. 2013년 관련 학술회의 동향 241
Ⅷ. 맺음말-당면과제와 전망 243
● 1923~2013년 관동대지진 90년, 우리들은 국가·민족을 극복했는가? 모리카와 후미토
일변연(日弁連) 권고의 의의와 일본 정부의 민중분단정책의 책임
Ⅰ. 문제의식-배외주의는 다시 힘을 갖는 것인가 249
Ⅱ. 1920년대 관동대지진시 일본, 아시아의 계급을 둘러싼 상황 250
Ⅲ. 관동대지진시 학살의 국가책임-일본변호사연합회 권고의 의의 252
Ⅳ. 국가책임의 본질-내셔널리즘에 의한 계급대립의 ‘회수’ 253
Ⅴ. ‘일본인으로서 책임’이라는 것은 255
Ⅵ. 우리들은 국가·민족을 극복할 수 있을까? 255
Ⅶ. 2013년 정세-세계적인 공황정세의 계속과 세계의 민중투쟁 257
Ⅷ. 민중·노동자 계급 공통의 적으로서 신자유주의-민영화·외주화·비정규화 258
Ⅸ. 국가의 책임을 철저하게 추급하는 일이 민중(계급)의 국제연대 260
●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규명하는 한국에서의 시민운동 김종수
Ⅰ.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 규명활동의 출발 263
1. 계절학교에서 만난 증언자 야키가야 다에코 264
2. 신주쿠 고려박물관에서 열린 간토 패널 전시회 265
3. 간토 조선인 학살사건이 한국 국회로 266
Ⅱ. 도쿄에서 간토 조선인 학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연대조직 출범 268
Ⅲ.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재일 시민연대 사업 278
1. 사진자료 전시회와 학술 심포지엄 278
2. 학살현장을 찾아가는 스터디투어 285
3. 국가 차원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입법화 운동 294
4. 희생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추도사업 300
5. 학살 희생자 유족찾기 사업 301
Ⅳ. 한국에서의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평가와 과제 304
1.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평가 304
2.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운동의 향후 사업과 과제 305
찾아보기 307
'아날로그 > 도서,한국사, 세계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주체사상과, 쇼와 일본 국가신토의 유사점 (0) | 2025.09.03 |
---|---|
미주리호로 가는 길 - 시게미쓰 마모루 외상의 수기 33권(ミズーリ号への道|外相重光葵・33冊の手記) (0) | 2025.09.02 |
2차세계대전 태평양전쟁, 뉴기니 전역 전투 (0) | 2025.08.31 |
아르고노트(오모리 후지노): 1권 광대행진, 2권 영웅운명 (0) | 2025.08.30 |
Mexican–American War (1846.4.25.~1848.2.2.) (작성 중) (0) | 2025.08.20 |
천황, 나는 당신에게 빚진 게 없습니다 (일본 수병의 자서전) (0) | 2025.08.20 |
Soviet, Never Ever Again (0) | 2025.08.16 |
기록과 기억은 역사가 된다 - 김문식(단국대 사학과 교수) (0) | 2025.08.05 |
Viewed Pos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