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후소(扶桑; Fuso)급 전함(2차대전, IJN)과 그것에 엮인 이야기 조금/:/ 구일본해군 전함과 중순양함, 경순양함의 건조 계보를 보고 if 본문


기술과 유행/우주항공,군사

후소(扶桑; Fuso)급 전함(2차대전, IJN)과 그것에 엮인 이야기 조금/:/ 구일본해군 전함과 중순양함, 경순양함의 건조 계보를 보고 if


반응형

들어가며

게임 월드 오브 워십의 제작진이 이 배의 외형을 무척 좋아했다고 해서 더 유명해진 그 배.
20세기 초 일본제국해군(Imperial Japanease Navy)가 건조한 2번째 전함군. 

우리에게는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다음 한반도에 기항한 사진이 남은 배기도 할 것이다. 공고급, 후소급, 이세급이 계획, 건조될 때가, 러일전쟁 이후 일본과 영국, 미국의 외교관계가 가장 밀월관계를 달렸을 때.[각주:1]
 
아래 링크는 찾기 손쉬운 ㄴㅁ위키것을 먼저 넣었다. 원래는 이사무님의 블로그를 찾아야 하는데, 요즘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 조금 더 알고 싶다면, 영문 위키백과와 일본어 위키백과의 각각의 전함 항목을 보자. 무척 자세하게 나와있다. ㄴㅁ위키의 일본 전함군과 순양함군 항목은 중요 이벤트의 연도 표시가 생략돼있는데다, 이상한 녀석들이 반달과 복붙을 열심히 해놨으니, 적당히 읽을 것. 특히 장단점부분은 절대로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말 것.
 
 

잡담: 전함, 중순양함, 경순양함.. 만약 이렇게 건조했다면?

전함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자체 건조에 실패한 일본이, 러일전쟁이래 동맹이던 영국의 도움으로 공고급 순양전함을 도입 및 기술지원 자체 건조[각주:2]하면서[각주:3] 시작한 일본 전함 계보의 두 번째 함급.
 
기본적으로, 후소급은 공고급을 확대하면서 중앙부에 포탑을 더 심은 것이다. 이것은 그렇게 무리한 설계는 아니었을 것이다.
 
공고급 순양전함의 설계 원형이 12인치 연장 7포탑을 단 HMS 에진코트(레샤디에)에 있다는 설이 있는데, 만약 그랬다면 원형의 중앙포탑 설계에 배려돼있다가 다른 용도로 사용된 공간을 되살려 이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공고급의 선조라 할 라이온급 순양전함의 계보를 보면, 원래 라이온급과 퀸 메리급 순양전함은 중앙포탑이 있었다. 후속 함급인 타이거급 순양전함은 중앙포탑의 위지는 크게 이동하지 않았지만 연돌을 함교와 중앙포탑 사이로 몰아넣어 중앙포탑의 후방시계가 트여 후방포탑이 되었다.
 
 
그리고 이 후소급의 개량형이 이세급이며, 여기까지 완전히 체화한 기술을 사용한 것이 16인치 포탑을 넣은 전함 나가토급이다.
이후 군축조약때문에 한동안 전함군의 신규 건조가 취소되는 바람에 순양함군을 건조하게 됐지만, 거기서 얻은 경험을 더해 건조한 것이 아마 야마토급인 듯. 야마토급의 후보 설계와 그림과 1번함의 외형을 보면, 공고급의 계보보다는 묘코급/모가미급과 더 닮았다.
 
다만, 여기까지의 이야기는 내부 도면을 보고 하는 말은 아니며 기공시기와 사진을 보고 하는 말이라서 "잡담"이다.
 
그런 관계로, 각각 4척, 2척, 2척이 건조 공고급-후소급-이세급으로 건조됐지만, 동시기의 타국 전함과 비교할 때 일본 전함군 중 완성도, 밸런스는 공고급이 제일 좋았던 것 같다.[각주:4]

후소급과 후소급의 후속 함급인 이세급의 가장 큰 단점은 3연장 주포탑 4개 체제로 하지 않고 공고급의 2연장 주포탑을 6개로 늘린 데서 나왔다. 1916년에 벌어진 유틀란트 해전에서 함체 중앙포탑의 취약성이 전세계의 눈앞에서 실증됐지만 1915년에 기공, 196~17년에 진수한 이세급을 도중에 고칠 시간은 없었다. 그나마 앙-애슐론식으로 주포탑을 양현에 배치하지 않은 것만 해도 다행이라 하겠지만.
 
그 두 함급을 건조하기보다는 차라리 공고급을 8척까지 늘리며 전함버전을 만들면서 3연장 포탑을 개발하는 게 나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중순양함: 아오바급에서 점프한, 모가미급 이후의 세대

이것은 순양함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8인치 3연장 포탑을 연구했다면, 2연장 포탑을 5개까지 넣느라 무리하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 18인치 3연장포탑을 개발하기 몇 년 전에 8인치 3연장 포탑을 개발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었을 것 같으니까. 게다가 1931년에 기공한 모가미급은 6인치 3연장 포탑이었다. 다만 6인치 3연장포탑용 포탑링보다 8인치 3연장포탑용 포탑링이 더 클 것이므로, 모가미급이 계획단계에서 8인치 3연장 포탑 교체를 의도한다면 런던군축조약 이전에, 묘코급이 그것을 사용하려면 워싱턴군축조약 이전에 그런 포탑의 개발이 진행됐어야 했을 것이다.
 
결국 후소급 전함의 계획단계에서 3연장 14인치 포탑의 개발을 하지 않은 것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 듯.
다만, 1차대전기까지의 전함건조 유행은 2연장 포탑이었고 화력이 더 필요하면 포탑을 늘리는 것이었지 2연장을 3연장으로 하는 것은 정석이 아니었다는 말도 있다. 그래서 후소급, 이세급의 2연장 포탑과 중앙포탑은 일본해군이 딱히 더 멍청해서가 아니라 당시의 유행을 따랐던 것이라고 해도 된다. 그리고 1차대전 해전의 전훈을 받아들이고 집중방어가 부각되면서 일부 국가에서 전쟁 전부터 개발하기 시작한 3연장포탑도 관심을 받았다.
 
그리고 순양함급은 구일본해군이 보조함의 화력에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기 때문이겠지. 전함은 국가의 얼굴로 인식됐지만, 전함이 있는 이상 순양함은 그렇지 않았다.
1922년에 기공한 후루타카급 중순양함은 8인치 단장포를 개방형 포탑에 수동으로 장전하는 방식이었다.
1924년에 기공한 아오바급 중순양함이 모양을 갖춘 2연장 포탑이 됐다.
어떻게 보면, 여기도 묘코급을 건조하기보다는 아오바급을 개량해가며 많이 건조하면서 모가미급이 선체에 8인치 3연장포탑을 넣은 차기 중순양함을 개발하는 게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각주:5]
 
 

경순양함: 모가미급이 경순이 아니게 된 다음 아가노급과 오요도급

한편 모가미급을 경순양함이라고 적고 중순양함으로 읽을 것을 염두에 두고 대형함으로 건조하는 바람에, 그리고 모가미급이 이후 중순양함 계보의 시조가 되는 바람에, 대가 끊긴 일본의 경순양함 라인업은 고난의 행군이 되었다. 1차대전형 경순양함들이 주력으로 전장에 나서야 했다.
결국 모가미급에서 배운 것을 이용해 함체를 설계한 아가노급 경순양함이 탄생했다.
하지만 아가노급은 많이 건조하지도 못했고, 그렇게 활약하지도 못했다고 한다.
게다가 아가노급의 주포탑은 6인치 2연장 3포탑이지만, 모가미급의 6인치 3연장 포탑을 축소한 것이 아니라, 공고급의 부포에서 가져온 것이어서, 실제 성능이 훨씬 나쁜 것이었다고 한다. 
 
https://ja.wikipedia.org/wiki/%E9%98%BF%E8%B3%80%E9%87%8E%E5%9E%8B%E8%BB%BD%E5%B7%A1%E6%B4%8B%E8%89%A6

阿賀野型軽巡洋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阿賀野型軽巡洋艦(あがのがたけいじゅんよう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軽巡洋艦の艦級で同型艦は4隻。 純然たる水雷戦隊旗艦用軽

ja.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Agano-class_cruiser

Agano-class cruise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ruiser clas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The four Agano-class cruisers (阿賀野型軽巡洋艦, Agano-gata keijun'yōkan) were light cruisers operated by the Imperial Japanese Navy.[2] All were named after Japanes

en.wikipedia.org

원래는 후속함과 마찬가지로 3연장 포탑 3개에 155mm 함포 9문을 장착하고, 3연장 어뢰 발사관을 장착하되 8cm 함포는 장착하지 않을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155mm 3연장 포탑은 함선 크기에 비해 너무 컸습니다. 따라서 주함포는 152mm 2연장 포탑 4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어뢰 무장을 강화하기로 결정하여 3연장 포탑을 제거하고, 남은 무게를 4연장 어뢰 발사관, 8cm 함포, 그리고 초경량 대공포에 할당했습니다.

 
영문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는 아가노급이 작아서 모가미급의 3연장 포탑을 달지 못했다고 한다. (모가미급의 최대함폭은 약 20미터, 아가노급의 최대 함폭은 약 15미터다. 3연장포탑을 2연장으로 줄이지 않으면 달지 못할 만도 하다. 게다가 아가노급의 함포에 관해 따로 찾아보면, 구형포를 가져온 것말고도 경량화에 중점을 두어 성능이 떨어지는 연장포탑을 설계하고 양탄기도 느린 걸 쓴 듯.)
그리고 배수량이 커진 오요도급에 이르러, 모가미급의 3연장 포탑 2기를 달았다고.
 
모가미급의 건조가 1931년에 시작됐으므로, 3인치 3연장 포탑 역시 1930년대 전반에는 완성돼있었을 것이다.
그렇게 보면 1930년대 말에 시작한 아가노급 건조때를 대비해 3연장을 2연장으로 줄여 아가노급의 좁은 선폭에 맞추거나, 아가노급의 선체를 모가미급 포탑을 염두에 두고 약간 넓게 설계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하지 않았다.[각주:6]
 
https://en.wikipedia.org/wiki/Japanese_cruiser_%C5%8Cyodo

Japanese cruiser Ōyodo - Wikipedia

Imperial Japanese Navy's light cruiser Class overview Operators Imperial Japanese Navy Preceded byAgano class Succeeded byC-44 class [jp] (planned) Planned2 Completed1 Cancelled1 Lost1 History Empire of Japan NameŌyodo NamesakeŌyodo River Ordered1939

en.wikipedia.org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6%B7%80_(%E8%BB%BD%E5%B7%A1%E6%B4%8B%E8%89%A6)

大淀 (軽巡洋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大淀 1943年6月、呉軍港に停泊と推定される「大淀」基本情報建造所 呉海軍工廠[1]運用者  大日本帝国海軍艦種 二等巡洋艦[2]級名 大淀型

ja.wikipedia.org

 
이렇게 보면, 처음부터 모가미급의 6인치 포탑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경순양함을 개발했어야 했고, 지나치게 쪼잔하게 배수량을 아끼다 개량할 여유를 까먹지 말고 총소유비용관점에서 접근해 넉넉한 배수량으로 건조하고 양산하는 것으로 규모의 경제를 얻어야 했다.
 
일본해군은 오요도급 다음에도 계획은 만들었지만 건조하지 못했다. 용골깐 배는 계획을 바꿔 항모로 건조하다가 때를 놓침.
 
 
그런데, 
모가미급이 6인치 3연장 5포탑을 달고 진수했을 때의 배수량과
6인치 3연장 2포탑만을 가지고 진수한 오요도급의 배수량이 위키백과에 기록된 숫자로는 큰 차이가 없다. 주로 오요도가 수상기를 많이 운용하기 위해 후방포탑을 포기했기 때문일 텐데..
 

탑재될 예정이었던 수상정찰기 자운이 기대 되었을 정도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부진하게 끝나고, 잠수함 부대에 의한 적함대의 점감이라는 전국도 없고, 잠수전대 기함으로서의 능력은 무의미해졌다 [ 33 ] . 어뢰 발사관이 없고, 주포의 문수도 적고 [ 주석 5 ] , 동형함도 없는 '대요'는 연합함대에서 떠있는 존재가 되어 있었다 -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6%B7%80_(%E8%BB%BD%E5%B7%A1%E6%B4%8B%E8%89%A6)

 
일본어 위키백과의 오요도 항목에서 재미있는 부분은, 이 경순양함이 잠시 연합함대 기함이 됐을 때의 이야기다.
태평양전쟁 후반에, 기함을 맡고 있던 야마토급 전함을 비롯 주력 전함이 모두 전선에 나선 다음 후방에서 해군 전체를 지휘할 배를 정해야 해서 선정된 배가 처음부터 통신설비에 신경써 건조한 오요도급.[각주:7] 기함으로 개장은 했지만 배가 작기 때문에 서태평양을 총괄하는 통신능력은 부족했는지, 전파의 수신은 배에서 직접 하고 송신은 오요도와 유선 연결한 정박지의 시설에서 대본영이나 함대에 보냈다고 한다. 그렇게 제반 사정상 오가사와라제도까지도 진출하지 않고 후방에서 일을 보다가, 이럴 것이면 굳이 이 좁은 경순양함에 들어가서 지휘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지 연합함대 지휘부는 육상으로 이전했고 그렇게 오요도도 기함임무에서 해제됐다고. 그리고 그때의 이야기가, 당시의 연합함대 사령장관인 도요타 소에무가 "전사하더라도 야마토나 무사시의 갑판 위에서 죽고 싶다"니까 참모부장이 그를 달랬다고 한다.
 
또한 오요도급은 아가노급보다 배수량은 훨씬 큰데
함선의 길이, 폭, 흘수는 그렇게 차이안나는 듯.
 
어디에 착각이나 오류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나중에 따로 찾아볼 것.
 
 
 
 

링크

 

공고급

https://namu.wiki/w/%EA%B3%B5%EA%B3%A0%EA%B8%89%20%EC%88%9C%EC%96%91%EC%A0%84%ED%95%A8

공고급 순양전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ngo_after_reconstruction.jpg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9%87%91%E5%89%9B%E5%9E%8B%E6%88%A6%E8%89%A6

金剛型戦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金剛型戦艦(こんごうがたせん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戦艦の艦級。日本初の超弩級巡洋戦艦である[5]。また1番艦の金剛はイギリス

ja.wikipedia.org

 

후소급

https://namu.wiki/w/%ED%9B%84%EC%86%8C%EA%B8%89%20%EC%A0%84%ED%95%A8

후소급 전함

일본 제국 해군 의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 1번함 후소 , 2번함 야마시로 가 건조되었다. 제원 파일:ex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6%89%B6%E6%A1%91%E5%9E%8B%E6%88%A6%E8%89%A6

扶桑型戦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扶桑型戦艦(ふそうがたせん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戦艦。金剛型巡洋戦艦と同時期に計画され、建造された日本初の純国産の超弩

ja.wikipedia.org

 

이세급

https://namu.wiki/w/%EC%9D%B4%EC%84%B8%EA%B8%89%20%EC%A0%84%ED%95%A8

이세급 전함

일본 제국 해군 의 이세급 전함 은 세계 최초이자 21세기 시점으로도 유일한 항공전함 이다. 제원 파일:exte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4%BC%8A%E5%8B%A2%E5%9E%8B%E6%88%A6%E8%89%A6

伊勢型戦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伊勢型戦艦(いせがたせん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戦艦の艦級である。本級は扶桑型に引き続き建造された超弩級戦艦である。 同型

ja.wikipedia.org

 
 
그리고

나가토급

라이온급 순양전함의 계보가 리나운급에서 외관이 현대식으로 바뀌었는데, 그것을 따라한 느낌.
(다만 구상만 하다 포기된 카가급 전함과 아마기급 순양전함의 밑그림을 봐서는, 중앙포탑을 없앤 것 말고는 그렇게 배운 것 같지도 않지만)
https://namu.wiki/w/%EB%82%98%EA%B0%80%ED%86%A0%EA%B8%89%20%EC%A0%84%ED%95%A8

나가토급 전함

長門と陸奥は日本の誇り (나가토와 무츠는 일본의 자랑) 나가토급 전함은 일본 제국 해군 의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9%95%B7%E9%96%80%E5%9E%8B%E6%88%A6%E8%89%A6

長門型戦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長門型戦艦(ながとがたせん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戦艦の艦型のひとつで、八八艦隊計画により最初に作られた戦艦。 長門(なが

ja.wikipedia.org

 
 
 

(묘코급)

https://namu.wiki/w/%EB%AC%98%EC%BD%94%EA%B8%89%20%EC%A4%91%EC%88%9C%EC%96%91%ED%95%A8

묘코급 중순양함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c430c944.jpg 파일:external/livedoo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5%A6%99%E9%AB%98%E5%9E%8B%E9%87%8D%E5%B7%A1%E6%B4%8B%E8%89%A6

妙高型重巡洋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妙高型重巡洋艦(みょうこうがたじゅうじゅんよう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重巡洋艦[2]。同型艦は4隻。那智級重巡洋艦と表記されたこ

ja.wikipedia.org

 

(모가미급)

https://namu.wiki/w/%EB%AA%A8%EA%B0%80%EB%AF%B8%EA%B8%89%20%EC%A4%91%EC%88%9C%EC%96%91%ED%95%A8

모가미급 중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 의 중순양함 . 함명을 지을 때 1번함 모가미( 最 上 )는 야마가타현의 모가미 강에서 유래한 명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6%9C%80%E4%B8%8A%E5%9E%8B%E9%87%8D%E5%B7%A1%E6%B4%8B%E8%89%A6

最上型重巡洋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最上型重巡洋艦(もがみがたじゅうじゅんよう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の重巡洋艦。同型艦は4隻。軍縮条約の都合上15.5cm砲搭載の軽巡洋

ja.wikipedia.org

 

야마토급

https://namu.wiki/w/%EC%95%BC%EB%A7%88%ED%86%A0%EA%B8%89%20%EC%A0%84%ED%95%A8

야마토급 전함

야마토급 전함 ( 大 和 型 戦 艦 , Yamato-Class Battleship)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namu.wiki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5%92%8C%E5%9E%8B%E6%88%A6%E8%89%A6

大和型戦艦 - Wikipedia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大和型戦艦(やまとがたせんかん)は、大日本帝国海軍が建造した戦艦。日本で建造された最後の戦艦艦型でもある。戦艦としての排水

ja.wikipedia.org

 
 
 
구일본해군 함선 목록 (일본어 위키백과)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6%97%A5%E6%9C%AC%E5%B8%9D%E5%9B%BD%E6%B5%B7%E8%BB%8D%E8%89%A6%E8%89%87%E4%B8%80%E8%A6%A7#%E7%AD%89%E7%B4%9A%E5%BB%83%E6%AD%A2%E5%BE%8C
 
 

  1. 일본은 독일령 남양군도와 독일 조차지인 칭다오를 점령했고 지중해에 소함대를 파견해 영국을 지원했다. 그래서 많은 땅과 바다를 획득했음에도,  1차대전의 전후처리과정에 가지게 된 피해의식과, 소련내전 개입 방침에 대한 견해차이로 시베리아를 침공해 내륙으로 진격하던 일본군이 재정부족과 영미의 견제로 철수하게 된 것, 그리고 이어진 군축조약으로 특히 일본 육해군 내부에 불만이 누적되었다던가... 자세히는 모른다. [본문으로]
  2. 인도네시아 조선업이 한국의 대선조선으로부터 마카사르급 상륙함을 일부 도입, 나머지 선박은 기술이전받아 자국내에서 건조하며 현대적인 대형선박 건조기술을 배워간 것과 같다. [본문으로]
  3. 당시 둘의 사이가 얼나나 가까웠냐면, 1차대전때 영국에서는 일본에 공고급 전함을 대여해달라고 요청했을 정도. 그 시기의 공고급은 훗날의 야마토급 이상의 위상을 가진 배라 일본은 그건 거절하고 주로 구축함으로 이루어진 소함대를 파견하는 걸로 대신했지만. [본문으로]
  4.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초기 남방정책을 지원하는 데는 이세급까지도 충분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미국의 구형전함들이 상륙전 포격용으로 활약한 것과 바슷한 느낌. [본문으로]
  5. 다만 묘코급은 이것을 개발하며 기술적으로 큰 진보를 했다는 말도 있어서, 이걸 거르는 건 안 될 말일지도. 대신 아오바급 카이, 아오바급 카이2가 건조되며 기술이 진보할 수 있다면 그래도 되겠지만. [본문으로]
  6. 좁은 선폭과 긴 세장비는, 어쩌면 기관의 출력이나 신뢰성부족때문에 걸린 제한이었을까? 아니면 수뢰전을 중시한 교리때문에 고속을 중시한 결과일까. 같은 시기 미국 경순양함들과 비교해보자 [본문으로]
  7. 함대의 지휘함은 전투력이 가장 강력한 배일 필요는 없다. 전통시대에는 그래야 했지만 현대에는. 예를 들어 블루 릿지는 오랫동안 미7함대의 상륙 지휘함이었다. 태평양전쟁기 미군과 일본군 모두 함대가 작전할 때 전함을 두고 중순양함을 지휘함으로 삼거나, 중순양함을 두고 경순양함을 지휘함으로 삼은 경우가 종종 있었다(물론 가장 강력한 전함이나 상륙함이 동행하면 거기 둥지를 튼 경우도 많다). 그리고 미군은 레이더성능이 가장 좋은 배가 구축함이라면 전투할 때는 구축함에 지휘함을 꾸려야 한다는 전훈 평가도 있었다. 통신설비를 중시한 지휘함이라면 그때의 미군도 있었는데, 상륙작전 교리를 발전시키면서 그런 지휘함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이것이 블루 릿지의 선조가 됐다고.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