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총장님 우리 군함에 스타링크 놓아야겠어요' 본문


기술과 유행/우주항공,군사

'총장님 우리 군함에 스타링크 놓아야겠어요'


여보 아버님댁에 보일러를.. 의 다른 말.

 

해군 1직군 부사관 임관, 3년 새 98%→32% '급감'…MZ세대 '휴대폰 단절' 이유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565458

 

[단독] 해군 1직군 부사관 임관, 3년 새 98%→32% '급감'…MZ세대 '휴대폰 단절' 이유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실이 해군으로부터 확보한 ‘해군 부사관 직군별 임관 추세’ 자료에 따르면, 항해·전투체계·기관·항공 등 1직군의 부사관 임관율이 2021년 98%에서 2024년 32%로 최근 3년 새

n.news.naver.com

ㅡ 함정근무강도

ㅡ 1년에 절반 이상을 해상근무하는 데서 오는 복무피로

ㅡ 휴대폰 사용 전면 금지.. 특히 요즘 세대에게 디지털 단절 소외감

 

ㅡ 해군은 함정 내 위성통신 기반 휴대폰 사용 시범사업 확대 중.

 

그런데 장기간 해상근무는, 항공모함이나 아덴만/ 아라비아해, 홍해/ 페르시아만, 동지나해/ 필리핀해/ 바시해협/ 남지나해/ 말라카해협.. 이렇게 활동영역이 늘어나며 원양근무나 장기항해가 늘어날 걸 생각하면 그 자체는 어느 정도는 상수로 생각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해군 함정의 인원수 감소는 스트레스를 높일 리스크가 있는데, 대신 자동화율을 높이고 또 인공지능도 사용하게 될 것을 기대하면.. 그리고 요즘 해군함정은 인천급보다는 거주성에 투자를 하는 것 같으니 그건 다행.

 

폰사용문제는, 보안이 가장 크겠지. 일단 부사관 이상은 간부이므로 교육을 더 해서 해결해야겠지만..

일본 자위대 간부가 음란영상보다 해킹당했다느니하는 썰이 한국에서도 재현되지 않으리란 법은 없다.

 

그리고 해상에서 인터넷이라면, 우리 영해와 확고한 우리 EEZ 안쪽에서는 SKT/KT 중계국을 늘리고 해상부이로도 중계국을 만드는 수밖에 없을까. 그리고 그 너머 공해상은 스타링크 정도겠네. 해군함정도 민간항로를 무해통항할 때는 AIS를 켜놓는다는데, 그러는 동안은 위치추적되는 것은 스타링크를 이용할 때와도 같겠지.

 

다만, 승조원 개개인의 휴대폰 단말기가 신호를 잡으려고 발신하는 전파가 군함에서 발신된다면, 그 전파를 식별해 위치를 파악하거나[각주:1] 그 군함을 향해 유도되는 무기가 있을 가능성도 생각해야 한다. 특히 교전해역으로 선포된 바다고 아군 선박이 없는 게 확실하다면 그 영역에서 휴대폰이나 무선랜 전파를 발신하는 배는 적함이니까. 이런 연상은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스타링크는 국내 상업서비스를 앞두고 있기도 하다.

지상기반 통신망이 닿지 않는 바다에서 조업하는 우리 어선들 위성전화용으로 서비스하던 아랍에미리트 위성이 서비스를 중단하면서 스타링크 수요가 크게 생겼다는 기사를 본 적 있다.

 

이 블로그 검색: 위성전화

이 블로그 검색: 스타링크

https://pcgeeks.tistory.com/460926

 

우리나라 민간의 위성전화: 제주 먼바다에서 조업하는 어민들

간 이어지는 원거리 조업에서 미끼와 부식이 떨어지거나 기관 부품이 필요할 때 선장은 위성전화로 제주에 있는 선주에게 위성전화로 연락을 해서 조업에 나가는 배편으로 공

pcgeeks.tistory.com

 

그리고, 스마트폰이 사용하는 5G주파수와 저궤도 통신위성이 사용하는 주파수 파장이 비슷하다던가? 그래서인지 갤럭시도 아이폰도 제한적으로 위성통신을 넣는다는 이야기가 나온지 꽤 돼서 2030년 안에 특별한 위성송수신단말이 없이도 통신이 가능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스마트폰 금지는 더 어려워질테고, 입대자에게 군대용 단말기를 주고 민간단말기를 금지하지 않는 한, SW방식의 보안프로그램을 깔고 관리하는 군대에서는 더 중요해지겠네.

 

(아니면 갤럭시 몇 가지 모델로 군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한정하고, 입대자는 아예 군대용 기능제한 보안 펌웨어를 깔아 사용하게 하고, 전역 전에 그 펌을 지우고 기능을 해금하도록 하면?)

 

 

 

 

  1. 요즘은 기술이 좋아서 삼각측량법이 아니라도 방향과 거리를 파악하는 기술이 있다. 같은 원리를 사용하는 기술이 인터넷 공유기에도 들어가고, 특정 블루투스 장치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스마트폰이 확인하는 데도 들어간다. 그리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그런 기술이 적 드론을 감지하고 지향성 전파를 쏘아 재밍하는 데도 들어간다.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