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USB메모리 RAID는 리눅스에서, 그리고 usb부팅에 대한 이야기 본문

컴퓨터 부품별/USB메모리,램디스크

USB메모리 RAID는 리눅스에서, 그리고 usb부팅에 대한 이야기

https://pcgeeks.tistory.com/385       ▒    2009. 1. 26.
    usb메모리로 raid를 해보려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씁니다. MAC OS와 Linux에서는 성공한 사람이 있습니다. 특히, 리눅스에서는 별로 어려울 것이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윈도에서는 그냥은 만들 수 없었습니다. 윈도 시스템의 소프트 raid는 usb메모리를 fixed disk로 인식시킨 다음에도 동적 드라이브로 만들어주지 않더군요. 남은 가능성 하나는 BIOS에서 usb 메모리를 HDD로 인식하도록 만든 다음에 윈도에서 어떻게 반응할 지 보는 것인데, 이건 환경이 지원하지 않아 해보지 않았습니다. (윈도가 BIOS를 무시할 것 같지만)
    하지만 윈도에서 가능하다는 보고도 있어요. 이건 링크 항목에서.

    생각나서 구글에서 'usb stick raid'를 검색해보니, 몇 군데 나오더군요. 제일 유명한 곳은 여기입니다.

    The Thumb Drive RAID Experiment

    URL: http://www.bigbruin.com/reviews05/thumbraid_1
    이 사람은 usb2.0 허브 하나에  몇 개를 연결해 raid를 만들어보았습니다.
    usb포트 하나에 이렇게 연결해서는 usb2.0 대역폭 제한을 받아서 4개 연결 전송률이 좋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되도록 각각 다른 usb컨트롤러에 연결해 역시 소프트웨어 raid로 묶어야 나올 것 같네요.
      (보통 컴퓨터에는 2~8개까지 usb컨트롤러가 달려 있습니다)
    OS는 CentOS 4.0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bigbruin.com/reviews05/thumbraid_5

    윈도XP에서 전송률이 R/W각각 15/5 MB/s인 usb메모리를
    2개를 raid 0으로 연결하면 14/8 MB/s 남짓
    4개를 raid 0으로 연결하면 32/32 MB/s 정도가 나왔다고 합니다. 보통 읽기속도가 더 빠른데 저렇게 나온 것은
    4개를 한 컨트롤러에 연결했기 때문에 대역폭 한계까지 갔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앞서 말한 대로 각각 다른 컨트롤러에 연결하면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밖의 참고 사이트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