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윈도우 10, 11에서 마우스 장치 아이디마다 설정이 다르면 좋을텐데. 키보드, 마우스 개선희망점 본문

컴퓨터 부품별/키보드,마우스,디지타이저,게임장비

윈도우 10, 11에서 마우스 장치 아이디마다 설정이 다르면 좋을텐데. 키보드, 마우스 개선희망점

이것은 여러 사용자마다 입력장치를 등록해 한 화면에서 각각 다른 사용자계정으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자기만의 키보드/마우스를 사용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 기능이 요즘 윈도우에선 구현돼있다는 것은 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한 화면에서 한 사용자계정으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그러니까 보통 윈도우 사용환경에서 예를 들어 키보드 3개와 마우스 3개를 등록해놓되 그 각각 3개의 키보드, 3개의 마우스가 설정을 장치 id마다 따로 따로 가지고 한 프로그램에 입력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키보드1은 한국어 입력모드, 키보드2는 영어 입력모두, 키보드3은 일본어 입력모드로 고정해 사용하고,

마우스1은 400DPI, 마우스2는 800DPI, 마우스 3은 1600DPI로 설정해놓고 사용하고 각각의 기능버튼도 다른 기능을 할당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 더 원한다면, 윈도우 포커스는 장치 아이디마다 따로 따로 가지게 할수도 있고, 마우스면 마우스, 키보드면 키보드가 공유할 수도 있으면 좋겠다. (이건 위에서 언급한 다른 프로파일도 마찬가지로 공유가능, 독립가능)

 

 

마우스

유선마우스, 무선마우스, 블루투스마우스를 동시에 연결해 사용하다 든 생각.

같은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것 같은데, 장치 아이디마다 다르게 적용한다면 좋겠다.

그렇게 하면 훨씬 쓰기 좋을 것이다.

 

 

지금은, 예를 들어 감도가 다른 두 마우스를 사용한다면

안쪽 마우스는 기계쪽에서 버튼조작으로 감도(DPI)를 변환해주는 수밖에 없는 듯.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HID, Human Interface Device): 키보드

이것은 키보드에도 마찬가지로 바라는 점.

한국어 키보드

영문 키보드

(그리고 중국어 키보드, 일본어 키보드, 등등)

를 동시에 연결해놓고 해당하는 언어로 입력할 때는 그 키보드를 사용하면 얼마나 편할까!!

 

키보드는 다른 의미에서, 레지스트리와 장치 프로파일이 장치마다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사용하는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한영키가 없는 키보드에서 한영키를 윈도우 키로 할당했다고 하자.

아니면 애플키보드를 윈도우컴퓨터에 연결해 사용하면서 컨트롤, 알트 키의 배치를 바꾸었다고 하자.

그런데 이런 걸 레지스트리를 바꿔서 해버리면,

이 컴퓨터에 한영키가 있는 키보드, 윈도우용 키보드를 연결해도 그 레지스트리가 동작한다.

그 밖에 IME에서 이것저것 바꿔놓더라도, 그럴 필요가 없는 키보드를 연결할 떄는 전부 풀어주어야 한다. 불편하다.

 

 

* 혹시 리눅스에는 그런 기능을 붙여 쓸 수 있을까?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