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미국이 베트남에 부과(유예)한 관세, 그리고 중국의 우회수출 본문

아날로그

미국이 베트남에 부과(유예)한 관세, 그리고 중국의 우회수출

관련기사 몇 가지입니다.
우리쪽으로 불똥이 튀지 않도록 우리 정부도 대책을 세워야겠습니다.
ㅡ 알테쉬 등의 미국수출 못한 물량 한국쪽으로 밀어내기 겸 한국 유통시장 장악 시도.
ㅡ 저번 철강재 관세부과때처럼, 중국업체의 한국으로 우회한 미국수출시도 문제. 베트남도 지금 자국이 된서리맞지 않도록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다른 나라 대통령에 고개 숙여서라도”...다급해진 베트남, 그놈의 관세가 뭐길래 [신짜오 베트남]
매일경제 2025.04.1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5213?sid=101

“다른 나라 대통령에 고개 숙여서라도”...다급해진 이 나라, 그놈의 관세가 뭐길래 [신짜오 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고율 관세 폭탄이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베트남 정부의 빠른 대응이 글로벌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미국이 자국에 부과하

n.news.naver.com

베트남은 미국의 관세 발표 직후 신속히 대응했습니다. 또럼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0%로 낮추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대미 수출을 정상화하고 양국 간 경제 관계를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또럼 총서기는 아울러 미국도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유사한 세율을 적용해줄 것을 제안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제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양국은 가까운 시일 내 관련 협정 체결 가능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베트남은 이를 통해 대미 수출을 지키고, 무역 불균형 해소도 함께 추진하려 하고 있습니다. - 매일경제

 
 

베트남·태국, 美 압박에 中상품 우회수출 차단 나선다(종합)
연합뉴스 2025.04.11.

'중국산 택갈이' 단속 추진…미국산 반도체 등 中 '우회수입'도 통제
태국도 허위 원산지 표시 단속 대상 확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25639?sid=104

베트남·태국, 美 압박에 中상품 우회수출 차단 나선다(종합)

'중국산 택갈이' 단속 추진…미국산 반도체 등 中 '우회수입'도 통제 태국도 허위 원산지 표시 단속 대상 확대 박진형 특파원 = 미국에서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예고받은 베트남이 미국의 요구

n.news.naver.com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베트남 정부와의 무역 협상에서 불법 환적 문제에 대해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베트남이 전적으로 베트남에서 생산된 상품과 중국 부품을 베트남에서 조립한 상품을 구분하는 관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2018년 약 170억 달러(약 24조원)에서 지난해 460억 달러(약 66조원)로 약 2.7배 급증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태국의 대중 무역적자도 196억 달러(약 28조원)에서 450억 달러(약 64조원)로 약 2.3배 불어나면서 태국을 통한 중국 기업의 대미 우회 수출이 늘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관세전쟁에 미국서 중국산 저가 공세 제동…중고시장은 반색
한국경제 2025.04.12.

중국산 소액 소포 관세 0→120% 폭등…쉬인·테무 직격타
패스트패션 등 가격 오를 듯…중고품 할인판매 업체엔 기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25801?sid=104

관세전쟁에 미국서 중국산 저가 공세 제동…중고시장은 반색

중국산 소액 소포 관세 0→120% 폭등…쉬인·테무 직격타 패스트패션 등 가격 오를 듯…중고품 할인판매 업체엔 기회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 격화로 최근 미국 내에서 몸집을 불려 왔던 중국

n.news.naver.com

최근 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할인 시장에서 쉬인과 테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17%이며, 2022년에는 미국 내 이커머스 배송의 80%가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오는 소액 소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쉬인, 테무 등 중국 업체들은 지난해 말부터 이미 베트남과 멕시코 등 제3국에 공장을 짓고 미국 내 창고에 재고를 대량으로 쌓아두는 등 관세전쟁에 대비해왔다. - 한국경제신문

 
 

본토도, 베트남도 설 곳 없다… 美 관세에 벼랑 끝 몰린 中 공장들
조선일보 2025.04.12.

中 중소 공장들, 美 관세에 주문량 급감
“관세 100%만 물어도 미국 수출 전멸”
첫 번째 무역전쟁 피난처, 베트남도 비슷
전망은 “곧 공장 폐쇄” vs “내수·해외 공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8743

본토도, 베트남도 설 곳 없다… 美 관세에 벼랑 끝 몰린 中 공장들

中 중소 공장들, 美 관세에 주문량 급감 “관세 100%만 물어도 미국 수출 전멸” 첫 번째 무역전쟁 피난처, 베트남도 비슷 전망은 “곧 공장 폐쇄” vs “내수·해외 공략” 중국 동부 저장성의 한

n.news.naver.com

다만 이 기사는 중국의 수출업체들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는 부분말고는 확실한 이야기는 적습니다. 만약 베트남이 미국과 협상을 잘 할 경우, 베트남에 세운 중국업체들의 택갈이 우회수출이나 단순가공수출이야 막히겠지만, 베트남에서 대부분의 부가가치를 만들어 생산한 것들은 막히지 않을 것이므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