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우진산전, 자체 플랫폼인 수소전기버스 아폴로 900 H2 환경부인증 통과, 연내 출시계획 본문


저전력, 전기요금/전기차, 스마트카 그 외

우진산전, 자체 플랫폼인 수소전기버스 아폴로 900 H2 환경부인증 통과, 연내 출시계획


반응형

지금까지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연료전지 전기버스만 있었다가 이제 경쟁자가 생겼다고.

기사 속 이미지를 보면 아담해보이는 중형버스인데요, 길이 9.1미터 41인승이라니 중형과 대형 사이쯤? 큰 중형? 1회 충전 주행거리는 460km정도라고.

 

https://www.etnews.com/20250821000253?mc=ns_003_00001

 

수소전기버스 판 커진다…우진산전 '아폴로 900 H2' 첫 인증 통과

철도차량·버스 제조기업 우진산전이 개발한 양산형 수소전기버스가 출시를 위한 첫번째 인증 과정을 통과했다. 우진산전을 비롯한 국내 상용차 기업이 양산형 수소전기버스 개발에 속도를 내

www.etnews.com

 

 

우진산전이 처음 개발한 양산형 중형급 수소전기버스 '아폴로 900 H2'가 국내 판매를 위한 첫 단계인 환경부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완료 (......) 2025.11월쯤 출시 예정 (......)

 

 

버스의 길이와 소형버스, 중형버스 대형버스를 설명한 블로그 링크 하나.

https://m.blog.naver.com/chou06122/220791592555

 

버스의 종류- 크기별로!

안녕하세요, 카메냐입니다. ^^  저번 포스팅까지는 맛보기였고 이제부터 진짜 파고들어가 보겠습니다....

blog.naver.com

ㅡ 소형버스, 마이크로버스: 25인승 내외, 장축은 7미터, 단축은 6.3미터 등

ㅡ 중형버스: 9미터급 또는 35인승. 오리지널 중형버스와 대형버스의 단축형 등.

ㅡ 대형버스: 11미터급 또는 45인승. 흔히 보는 시내버스와 관광버스 대부분.

 

같은 블로그에서, 

https://m.blog.naver.com/chou06122/220808449923

 

버스의 종류- 운행 목적별로!

안녕하세요, 카메냐입니다. ^^ 지난 시간 <크기별로 알아본 버스 종류>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chou06122/220785464200

 

버스란?

안녕하세요, 카메냐입니다.^^  카메냐's 라이드버스 시작 후 본격 첫 포스트네요. 버스란 뭘 말...

blog.naver.com

 

대형버스의 폭이 4.29미터인 이유

https://m.blog.naver.com/chou06122/220816921345

전통이 그래서.. 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도로교통법상 도로에서 운행 가능한 자동차의 규격 "전장 13미터, 전고 4미터, 그리고 전폭 2.5미터 이내" 란 기준때문에.

 

아래 기사, 상용차신문에서도 그런 말을 합니다.

 

차량 전폭 기준 ‘2.5m’ 못 푸나?
“글로벌 상용차 시대 한국, 갈라파고스화?”
상용차신문 2022.11.07
국내 자동차 전폭 기준 ‘2.5m’, 유럽은 ‘2.55m’
5cm 차이로 유럽産 일부 전기트럭·버스 수입 불가
박강석 ECCK 상용차위원장 “5cm 유연성 부여해야”
국토부 “안전 문제 일으킬 수 있고 시급하지 않다”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31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개정된 자동차안전기준 법규에 따라, 차량의 전장(길이)은 13m, 전고(높이)와 전폭(너비)은 각각 4m와 2.5m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 유럽의 경우 전장 기준은 따로 없으며, 전고 4.3m, 전폭 2.55m로 국내 규격보다 여유로운 편이다. 따라서 국내의 수입 상용차 업체들은 자국 기준에 맞춰 개발한 트럭 도입을 아예 포기하거나, 국내 법규에 맞춘 전용 모델을 개발해(같은 차대에 5cm 좁은 섀시를 씨워) 들여와야 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5cm차이로 승객에게 대단한 불편이 날까 생각하면 좀..

4열 좌석 기준 좌석당 1cm와 복도 1cm 정도 차이거든요. 좌석당 1센티폭이 그렇게 큰 차이를 가져올까? 시내버스에서?

(고속버스는 영업 채산성문제로 4열배치 버스는 점점 줄어들고 3열배치 우등버스만 남는 추세같으니 이 문제와는 상관없습니다)

 

 

조금 더 찾아봤는데,

 

버스폭 2.55미터라는 유럽의 경우, 갈아엎는 개발을 잘 안 해선지 2미터대 차선폭도 많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와 달리 주로 주행하는 차종마다 차선폭을 다르게 하는 지역도 있다고. 그 경우 버스전용차로는 3.5 미터 차선을 주고 승용차는 2.5미터 차선을 준다나..

 

그리고(독일 자동차 문화를 소개한 블로그), 일반 차량은 예외적인 구간, 예외적인 차종을 제외하면 버스전용차로에 들어서면 안 되는 것은 물론 일반차로에 들어온 버스의 주행을 방해해서는 안 되고, 정차한 스쿨버스 옆에 왔으면 스쿨버스가 다시 주행을 시작할 때까지 무조건 같이 정차해야 하고, 정차한 버스를 지날 때는 무조건 엄금엄금 지나가야 하며, 버스(아마도 노선버스)는 어느 차선에서든 추월과 차선진입 등 모든 도로주행에서 우선권을 갖는다는 식.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