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현실이 된 '무인화 사회'… 장애인엔 '공포'가 되다" - 서울경제신문 기사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현실이 된 '무인화 사회'… 장애인엔 '공포'가 되다" - 서울경제신문 기사

한 세대가 지나면 대략 국민 절반이 장애인이 될 겁니다. 물론, 지금의 청년층이 그때 노년으로 접어들 것이므로 지금 수준의 키오스크와 무인상점에는 익숙해 있겠죠.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닙니다. 기대수명이 더 길기 때문에 장애인 비율도 늘어갈 것이고 장애인의 사회활동도 지금보다 더 많아집니다.[각주:1] 그리고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기계화, 모바일화, 온라인화되어서 지금의 청년세대도 힘겹게 느끼겠지요. "임산부노약자"라는 말이 있듯이, 건강한 청년남녀에 비하면 임부와 산부와 노인은 장애인, 즉 심신약자입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

정부, 노인기준 70세로 바꾸는것을 검토.(2019)


[소셜실험] 현실이 된 '무인화 사회'… 장애인엔 '공포'가 되다

서울경제 2019.1.16

[장애인과 함께 키오스크 직접 사용해봤다]

최저임금 인상·‘언택트 소비’에 빠르게 다가오는 무인화 사회

"높낮이 조절이나 음성지원 안 돼… 키오스크 사용 너무 힘들어"

"또 하나의 넘을 수 없는 장벽에 삶의 주도성 잃어가는 것 같아"

간단한 기술·규격만으로 해결 가능… 더 늦기전에 대책 마련을


  • "지방자치단체 설치기기 10대 가운데 4대는 장애인이 이용할 수 없음"(국회입법조사처)
  • 기사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의 경우만을 예시했지만 그 밖에도 많을 것.
  • 이런 불편은 불가피한 일이 아님. 서비스하는 주체와 기계를 만드는 제조사에서 신경쓰면 얼마든지 극복되는 문제.
  • 정부는 관련 지침을 만들어 제시하고 홍보해야 함. 늦을수록 관공서는 기계를 뒤늦게 바꿔야 하고 민간에서는 기계수명이 다해 교체할 때까지 불편을 견뎌야 해서 사회적 비용이 커질 것.


  1. 요즘 정책은, 신체약자를 누가 전담해 보조하는 것보다는 가능한 한 독립적으로 생활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데 있다고 해도 되죠? 그게 기술적으로 가능해지고 있고 더 경제적이고 또 인권을 존중하는 방식이기도 하고.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