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틀린 그림을 언론 매체 보도나 정부 홍보자료에 써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을 줄일 방법 본문


모바일, 통신/문화, 트렌드, 여담

틀린 그림을 언론 매체 보도나 정부 홍보자료에 써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을 줄일 방법


반응형

간단해요. 자본주의 사회니까, 돈으로 해결하면 됩니다. 단, 거기에 그치면 안 되고, 관계자들이 해결할 통로도 만들어주는 거죠. 목적은 돈을 울궈내는 게 아니라 그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니까.

SBS가 잘못 방송한 사례들 중 하나. 틀린 이미지가 있음에 주의. 이 회사, 개국한 지 몇 년 됐더라..


저런 건, 담당자 징계를 요구해서 풀릴 문제가 아녜요. 돈으로 해결해야 돈무서운 줄 알고 회사가 체계적인 예방책을 강구합니다. 그리고 조금 더 생각을 해야죠.


예를 들어 미디어 대기업인 A방송사가 자체 이미지뱅크를 운영하거나 인터넷에서 아무 이미지나 건져 사용하다 저런 방송사고를 냈다 치죠. 피해를 입은 개인이나 단체나, 아니면 국가가 소송당사자가 될 수 있으면 국가가 소송이나 중재를 통해 거액의 배상금이나 벌금을 물리거나 광고송출 불이익을 주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A방송사는 도덕적인 문제때문이 아니라 영업상의 손해때문에라도 그런 방송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조심할 것이며, 그 직원과 관리자는 회사 바깥의 특정 집단이나 사회에 밉보인 탓이 아니라 회사에 금전손실을 입힌 행위탓에 더 강하게 징계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A방송사가 자체 인력으로 이미지뱅크를 관리하는 데 한계를 느낀다면, 그럼에도 또 소송당해선 안 되니까, 외부의 상업 이미지 뱅크 B사와 계약하고, 사고발생시 배상 책임도 전가할 것입니다. 그리고 B사는 한 번 제대로 당하면 망할 수도 있는 그런 리스크를 혼자 질 수는 없으니까, 보험사 C에게 이 영업활동과 관련한 보험을 들겠죠. 보험회사인 C사는 그런 리스크를 평가하고 상품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자체 상품을 출시할 테고, 능력이 없으면 외국의 관련 회사와 협력해 그런 걸 만들거나 그걸 들여와 팔겠죠. A방송사가 자체적으로 이미지뱅크를 계속 운영하겠다 결정했으면 방송사 자신이 그 보험을 들 테고 말입니다.


일하는 방식이 이런 식으로 바뀌게 되면 이런 일은 줄어들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이런 사건은, 정치쪽에 그치지 않고 훨씬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점점 일상적인 사건 또는 해프닝이 되어 갈 것입니다.



그리고..

‘일베 사진 사고' 캐리돌 뉴스 결국 폐지

SBS플러스 "고의성 없지만 제작 시스템 미비"... 관련자들 중징계

한국일보 2017.6.

  •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한 달간 조사한 결과, 내부 모니터링 및 게이트 키핑, 사전 점검 프로세스 등 제작시스템이 미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BS플러스 사장, 제작부본부장, 해당 제작팀장, 선임 PD에게는 감봉 3개월, 담당 PD에게는 감봉 4개월의 중징계"

  • "앞으로 SBS는 포털사이트 다운로드를 통한 사진 사용이 금지되며, 불가피한 경우 해당 기관에서 직접 받은 안전한 정품만 사용하고, 상위 3단계 확인 과정과 최종 결정자의 서면 결재를 거쳐 이미지를 사용하도록 자체 결정"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