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EBS1 명의) 제 930회〈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받아쓰기 (작성중) 본문


아날로그

(EBS1 명의) 제 930회〈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받아쓰기 (작성중)


반응형

앞부분을 못 봤네요. 

 

방송소개

https://pcgeeks.tistory.com/463682

 

(EBS1 명의) 제 930회〈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 방송소개

EBS홈에 올라온 방송 소개분을 편집한 내용입니다.모든 내용은 링크한 EBS사이트에 있습니다. EBS 명의 편에서는 신경과 명의 방오영 교수와 함께 경동맥에 대해 상세히 알아본다. *방송일시 : 2025

pcgeeks.tistory.com

 

 

 

받아쓰기

정리하겠지만, 일요일에 재방송보고 보충해야겠습니다. 오늘 방송은 중요했는데..

 

======================================

10시 10분쯤부터 

 

과거에는 뇌졸중 원인은 뇌혈관이었다.

지금은 경동맥 협착이 직접 원인이 되거나, 여기서 생긴 혈전이 떨어져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생긴다.

 

경동맥 협착증은 증상이 없는 게 대부분. 그때는 약물치료.

증상은 결국 뇌졸중인데, 미니뇌졸중(일과성 허혈발작), 뇌졸중 환자인데 경동맥협착이 50%이상이다 그렇다면 약물치료를 하면서 스텐트 시술을 권한다.

증상이 없이 다른 경로로 경동맥 협착만 진단된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기분이다. 70% 이상 막혔을 때 시술하거나 약물치료를 하며 경과를 보면서 시슬 시기를 정한다.

 

 

경동맥 협착증과 관계있는 일과성 허혈 발작(미니뇌졸중)과 뇌졸중의 증상

(환자 자신의 증상 묘사)

 

경동맥 협착증의 스텐트를 시술할 때 위험은

ㅡ 카데터가 경동맥에 들어가 시술하는 동안 (근처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심장박동이 느려질 수 있다 그래서 심장박동 신호기를 붙여 자동으로 심박을 조율한다.

ㅡ 스텐트시술 중 혈전이 떨어져 뇌혈관으로 들어가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ㅡ 시술 직후에는 넓어진 혈관으로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면서

그동안 혈류가 적은 상태에 적응돼있던 뇌혈관이 터지거나 조직이 자극받아 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회복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스텐트 시술 후 재협착은

ㅡ 당뇨가 있거나

ㅡ 생활습관을 개선하지 않고 사는 경우

의사가 말하는 거 잘 따르면 잘 안 생긴다.

 

내막절제술

 

 

10:22

내 경동맥은 얼마나 막혔을까?

경동맥 초음파는 건강한 사람에게 권고하지 않는다. 건강검진으로도 권고하지 않는다.

이 검사는 증상이 있을 때 원인을 알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경동맥 초음파로 50% 협착 판정을 받고 큰 병원와도

시술 전에 CT/MRI 측정을 해보면 정상인 경우도 있다.

 

경동맥 초음파로 판정하려면 경동맥 혈류 속도도 평가해야 한다. 협착이 심하면 혈류속도가 정상보다 매우 빠르다.

하지만 초음파를 찍는다 할 때 혈류속도를 같이 안 재는 경우가 많다.

 

스텐트 시술을 한 게 끝이 아니다.

나이먹으며 재협착이 자연적으로 생긴다. 그리고 당뇨 전 단계도 주의대상이다. (그러니까 당뇨는 아니지만 당화혈색소수치는 높은 경우도)

 

사례) 스텐트 시술경력자. 고혈압, 전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이었지만 그랬다. 지금은 더 신경쓴다고. 지금 다시 조금씩 막히고 있지만 아직은 약물조절 중.

 

경동맥흡착증에는 비만도 나쁘다.

 

고지혈증약.. 간의 LDL생산을 줄이고, 장점막의 LDL흡수를 줄이는 기전

스타틴류 복용 중인 환자는 갑자기 약을 끊으면 안 된다. 뇌졸중확률이 5배 증가.

 

목마사지를 조심해라. 하지 마라. 특히 목 앞쪽은 마사지 금지.

거북목을 푼다고 목뒷근을 마사지를 받으며 압박되거나 목을 급격하게 비틀면

ㅡ 경동맥이 직접 찢어지거나, 꽈리가 생겨 박리되거나 터지거나

ㅡ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졸중이 되거나

ㅡ 미주신경이 잘못 자극돼 심장박동에 악영향을 주거나

 

좋은 일이 없다고.

 

 

심장까지 위협하는 경동맥

사례) 경동맥때문에 왓는데 관상동맥 석회화 발견

경동맥이 안 좋은 사람들은 관상동맥도 안 좋은 다혈관질환 환자일 수 있다. 피는 온몸을 흐르니까.

 

석회화까지 갔으면 CT촬영만으로는 잘 모른다. 그래서 조영제를 투여하고 X레이 영상을 찍어 혈류를 눈으로 봐야 한다.

 

사례 환자는 우관상동맥이 9할이나 막혀. 결국 한꺼번에 힘드니 우선순위를 잡아 순차적으로 시술하기로.

 

경동맥환자의 관상동맥질환 동반 비율

10명 중 4~6명은 심장혈관 말초혈관도 그런 상태다.

 

걸을 때 다리 통증.. 혈관성 파행

경동맥 협착증환자는 관상동맥과 말초혈관 협착이 같이 있다고 보고 의심하는 게 맞다.

 

사례) 어지럼증으로 병원갔는데 그때는 뇌졸중이 아니었지만 경동맥협착증, 동맥경화증 진단

 

 

경동맥을 지키는 최고의 비결

스타틴같은 고지혈증약을 처방받았다면 꼭 먹어라. 하루라도 절대 끊지 마라.[각주:1]

 

스타틴은 뇌졸중약으로서 치매예방효과도 연구된 바 있다.

일부 환자는 부작용이 있지만, 대개는 생겨도 초기에 생기지 이미 오랫동안 잘 먹고 있는 사람들은 걱정할 일이 아니다.

고용량을 장기 복용할 때는 당뇨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것도 고용량을 처방받는 환자의 이야기고 의사들은 (고혈압약과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의 고지혈증약을 혼합처방해 되도록 부작용이 적은 용량을 사용하려고 한다.

 

처방받은 약은 꾸준히 드세요.

 

 

=======

다음주 예고

ㅡ 아침도 안 먹고 탄수화물 안 먹고 바쁘게 움직이는데 내 뱃살은 왜 안 빠질까?

ㅡ 당신이 오해하는 복부비만

ㅡ 반드시 챙겨야 하는 ( )

 

 

 

  1. 반대로, 다른 약도 그렇지만, 깜빡하고 하루 걸렀다고 다음날 전날치까지 먹으면 안 된다.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