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동물학, 생태학, 식물학, 농업/ 개코와 암센서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동물학, 생태학, 식물학, 농업/ 개코와 암센서

이야기 1.

아프리카 박쥐 1종의 생태를 연구한 결과, 그 박쥐가 주로 먹는 열매의 씨앗을 주변 수십 km에 걸쳐 배설물로 뿌려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는 이야기. 새가 그런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니 박쥐가 그런다 해도 이상할 일은 없습니다만, 일단 증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공학적으로는, 특정 동물종이나 식물종이 멸종위기에 있을 때 향후 결과를 예상한다든가, 그 종이 인간 생존 또는 경제에 중요할 때 대신할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야기 2.

"네마리의 비글에게 정상 혈액과 폐암 환자에서 나온 혈액 샘플의 냄새를 구분하도록 훈련시켰다. 이중 실험에 흥미를 잃은 한마리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마리의 비글로 실험한 결과는 놀라웠다. 폐암 환자의 혈액을 96.7%의 정확도로 구분했기 때문이다." - 서울신문 2019.4.9.


"어느 질병을 앓는 환자에게는 무슨 냄새가 난다"는 말은 오래된 경험입니다. 개코는 커녕, 의사나 간호사가 아닌 일반인도 간병경험자는 경험적으로 체득하는 사실인데요, 만약 진단가능한 질환수를 늘리거나 아예 범용으로 만들어 의원급에 보급할 수 있는 양산형 기계로 실용화되면 병원 외래진료에 청진기급으로 혁명적인 변화를 끌어낼 기술이 될 겁니다.



이야기 2번의 여담.

개는 어느 정도 지능이 있고 위에서 보듯 냄새를 잘 맡아서, 여러 탐지견 용도로 특화되어 많은 업무를 보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심정적으로는 좋은 일이 아니지만[각주:1] 어쨌든 개는 품종개량이 많이 되어 있고, 아예 냄새잘맡는 개체를 골라 복제(체세포 클로닝)해 보급하기도 한다더군요.[각주:2] 그 과정에서, 그리고 그런 개를 이용한 동물실험과정에서 동물윤리문제가 제기된 불미스런 사건이 최근 몇 건 있었습니다.


  1. 유전적으로 가장 건강하고 병이 적은 개는 완전 믹스견(똥개, 잡종견)이라고 하지요. [본문으로]
  2. 연구실에서 동물실험용으로 많이 쓰는 흰 쥐와 흰 생쥐도 클로닝까지는 아니지만 워낙 오랫동안 근친교배를 해서 일종의 순종혈통 품종을 만든 셈이라, 실험할 때 변수를 통제하기는 참 좋지만 역으로 그 결과를 일반적으로 해석할 수있느냐는 물음표가 붙는다는 글도 본 적 있습니다. 어쨌든 동물모델로서는 참 유용하지만.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