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감, 탄닌 등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기호식품, 식료품 등

감, 탄닌 등

감에 대해

단감, 대봉감,

둥시, 고종시, 반시.

 

몇 가지 링크.

 

제17호 지리적표시 임산물-영암 대봉감
제23호 지리적표시 임산물-악양 대봉감
제88호 지리적표시 농산물-진영 단감

https://www.mediagunpo.co.kr/13254

ㅡ 우리나라 사서의 감에 관한 기록

 

https://furune.info/222

ㅡ 대봉감 수확시기는 10월 중순부터 11월 하순까지.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6/2017111602730.html

ㅡ 우리나라 감의 역사, 문화

ㅡ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감나무의 수령은 750년 이상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41051

ㅡ "단감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탄닌 성분이 수용성에서 비수용성으로 바뀐다. 검게 보이는 점은 불용성으로 변한 탄닌 성분이 산화된 것"
ㅡ "단감에 든 탄닌 성분이 대장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변비를 생기게 한다고 하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더 많기에 일부러 탄닌 성분이 많은 든 식품을 찾기도 한다", "탄닌 성분은 특히 감 가운데에 몰려 있다. 따라서 가운데 심지 부분만 골라서 많이 먹지 않는 한 건강한 사람이 단감을 먹는다고 해서 변비에 걸리지는 않는다"

 

감잎도 비타민과 그 외 좋은 성분이 많다는 얘기는 오래됐고, 말린 감잎을 우려낸 차로 쓰는 민간요법도 오래됐다. 감잎보다는 감의 대목으로 사용되는 고욤나뭇잎이 더 낫다는 말도 있다.

 

 

탄닌(tannin)

탄닌(tannin)에 대해 몇 가지 웹검색 찾아본 것 정리. 틀렸을 수 있다.

 

ㅡ 수용성 탄닌은 떫은 맛의 원인이며 변비의 원인이다. 감이 익어 불용성 탄닌이 되면 떫은 맛이 없어지고 변비영향도 적어진다. 하지만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서[각주:1] 익은 감이라도 많이 먹으면 변비에 걸릴 수 있다.  

 

ㅡ 단감이든 홍시나 곶감으로 익혀 먹는 떫은감이든 감이 익어도 탄닌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단, 떫은 맛이 없어진 만큼 수용성 탄닌이 불용성 탄닌으로 바뀌고 감 과육에 검은 점으로 나타나 눈에 보인다.

 

ㅡ 감이 함유하는 탄닌의 양 자체는 단감이 월등히 적고, 떫은감(홍시감)은 탄닌이 많다. 수용성 탄닌의 떫은 맛은 감이 익으면(후숙되면) 없어진다.

 

ㅡ 감의 떫은 맛은 껍질 바로 안쪽, 꼭지 밑, 꼭지에서 과육을 관통하는 심지(희거나 밝은 색 과육)에서 잘 나고, 또 탄닌도 여기에 많다. 

 

홍시감이 연하더라도 감은 잘 씹어먹어야 하는 과일이다. 감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과일에 속한다고. 

 

ㅡ 장이 민감하거나 장에 불편이 좀 있는 환자이지만 감을 먹고 싶다면, 단감이나 떫지 않은 홍시를 가지고 저런 부분은 잘라내고 먹으면 될까??

장기능이 약한 어르신들은 이가 약해서 홍시를 즐길 수 있는데, 너무 많이 드시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 감으로 배를 채우려들지 말고, 적당히 먹으면 무척 좋은 과일이다.

 

ㅡ 탄닌은 철 등과 결합해 흡수를 방해하므로 선짓국 등 철분을 많이 함유한 음식은 감과 궁합이 안 맞다.

바나나도 탄닌이 있다. 반점이 생길 만큼 익은 바나나는 홍시와 마찬가지로 괜찮다. (꼭지가 녹색인 바나나는 껍질쪽 맛을 보면 탄닌의 떫은맛이 살짝 느껴진다)

 

* 떫은 감이나 섬유질이 아주 많은 식재료나 건강기능식품을 장복하면 장건강이 안 좋을 수 있다고 한다. 뭐든지 과하면 안 좋다는 것.

 

 

단감의 역사. 단감은 외래종이다. 우리나라감은 비타민A가 많다.

https://blog.lgchem.com/2016/09/08_persimmon/

 

땡감과 단감, 감 종류 뭐가 다를까?

본격적인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백로도 지난 요즘 가을답지 않게 여전히 더위의 여운이 남아있음을 느낄 수 있는데요. 그럼에도 어김없이 돌아온 민족의 대명절 추석, 오늘은 추석을 맞이하여

blog.lgchem.com

감의 숙취해소역할은

1. 수용성 탄닌때문이다. 우리 간이 알콜(술)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하면, 그렇게 만들어진 아세트알데히드가 감에 들어있는 수용성 탄닌과 결합해 불용성 탄닌으로 바뀐다. 

2. 감의 펙틴은 장의 알콜흡수를 방해한다.

3. 감속의 효소는 알콜산화를 촉진한다.

 

여기서, 1번을 보면, 숙취를 풀겠다고 일부러 떫은감을 먹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아마 홍시일 텐데, 홍시가 떫지 않다고 해서 수용성 탄닌이 전혀 없다면 1번의 숙취해소효과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떫은맛이 아직 있어도 단맛에 가려 있다면 말이 된다. 그리고 홍시라고 많이 먹으면 변비를 느끼는 것도 말이 된다. 실제로 그런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의료인을 위한 음식설명서: 기능성 변비와 음식

https://www.ksgm.org/down/lecture_12_01_02.pdf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 · 운동학회 학술위원회 | 변비연구회

변비에 도움이 되는 식생활 습관

식이섬유는 대변의 부피를 늘리고 부드럽게 하여 배변 횟수를 증가시켜 변비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국내 가이드라인과 아시아 소화기 기능성 질환 운동학회에서 제시한 변비 치료 합의안에서는 하루 20-25g의 식이섬유 섭취를 권장하였다. 약제 형태로 만들어진 식이섬유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가 있지만 식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메타분석에서 식이섬유는 변비 환자에서 배변 횟수를 증가시켰으나 대변 굳기를 호전시키거나 완하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부 심한 변비 환자에서는 오히려 복부 팽만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다한 섬유소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식이섬유는 수용성과 불용성, 발효성과 비발효성으로 구분된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식이섬유가 물에 잘 녹는 것을 의미하며, 발효성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한 후 대장 내 혐기성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짧은 사슬 지방산과 이산화탄소, 메탄, 수소 등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중등도의 수용성이면서 발효성의 식이섬유와 불용성이면서 느리게 발효되거나 비발효성의 식이섬유가 좋은 배변 효과를 보인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는 식생활습관

탄닌이 많이 함유된 덜 익은 과일(감, 바나나, 석류, 포도 등), 카페인이 포함된 음료와 알코올은 장의 탈수를 일으켜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바나나는 껍질이 대부분 노란색을 보이는 경우라도 일부 초록색 부분이 있거나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단단하다면 잘 익은 상태는 아니며 노란색 껍질이 갈색 반점을 보이거나 손가락으로 눌려져야 탄닌이 최소화된 상태가 된다. 나무에서 충분히 익히지 않은 바나나는 수확 후 잘 익은 상태로 변화하더라도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다량의 전분을 함유한. 변비가 있는 환자라면 바나나 섭취는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어?

 

식이섬유가 아직 변비 증상을 호전시키는 지는 명확하지 않다. 식이섬유는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경도 및 중등도의 만성 변비 치료의 초기 단계에 적용할 수 있지만, 심한 변비에는 효과가 없다. 변비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신체활동과 함께 균형된 식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이섬유가 높은 음식의 섭취를 상대적으로 늘리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대변 저류가 있는 경우에는 식이섬유 섭취로 인해 경련성 복통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대변 저류가 없는 지 확인해야 한다. 갑자기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면 가스형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복부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서히 늘려가도록 교육해야 한다. 

 

 

노인성 변비의 특징과 방치시 위험

노인성 변비의 경우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단순한 노화 증상이나 소화 장애로만 생각하고 방치되기 쉽다. 하지만 배변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장폐색증 위험이 커진다. 전문의 처방 없이 시중에서 파는 자극성 변비약이나 보조식품을 장기간 남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장 점막을 과도하게 자극하면 장 연동 운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무기력해지면서 만성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장내 신경층이 파괴되면 장 기능이 망가질 수도 있으므로 섬유질 성분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다면 가급적 빨리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드물지만 대장암, 염증성 장 질환,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신경계 질환, 근육질환 등 여러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10801537 

 

대변 굵어 변기 막히는 것도 '변비' 증상?

대변 굵어 변기 막히는 것도 '변비' 증상?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변비는 건강에 치명적이진 않지만,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불쾌한 병이다. 변비에 해당한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활습관

m.health.chosun.com

 

 

  1. 그리고 몸 속에서 소화되면서 불용성 탄닌의 일부가 다시 수용성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단언한 글은 아직 찾지 못했다.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